[中 만리장성 억지 늘이기] 길이 왜 늘였나… 中, 이번엔 ‘長城 굴기’? 검은 야욕 어디까지

입력 2012-06-06 21:52

중국의 만리장성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와 보호 작업은 지난 2006년 국무원이 발표한 ‘장성보호조례’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를 계기로 국가문물국과 국가측정국은 2007년부터 장성 자원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이와 함께 장성에 대한 보호 공사도 병행했다.

국가문물국은 그 뒤 5년에 걸쳐 진·한(秦漢)시대와 여타 시대의 장성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광명일보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러한 사업에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제11차 5개년계획(11·5계획)’ 기간 동안 모두 5억위안(약 925억원)을 투입했다.

이러한 막대한 투자를 통해 지방정부 관련 부서로 하여금 장성 관리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했다. 또 여러 종류의 장성에 대한 범위와 성격을 명확히 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이미 확인된 장성에 대해서는 지방정부에 보호 책임을 지웠다.

중국 정부는 이처럼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데 대해 “만리장성이 중화민족뿐 아니라 세계적인 문화유산이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인류의 유산을 잘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국 정부의 당연한 책임이라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이에 따라 12·5계획 기간에는 더욱 완벽한 만리장성 보호관리 체계를 세우고 만리장성 보호 종합계획을 짤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만리장성에 대한 응급처지도 시행하고 만리장성 보호와 관련한 두드러진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주력한다는 것이다. 특히 만리장성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처벌이 가능하도록 했다.

문제는 이처럼 장성 조사 및 보호를 국가적인 사업으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역사 왜곡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고구려 유적지인 랴오닝성 단둥성에 있는 박작성마저 만리장성의 일부라고 지난 2009년 주장하고 나서기도 했다.

이러한 현상이 빚어지는 것은 동북공정에서 보듯 중국 정부와 역사학계가 ‘합작’한 결과로 지적되고 있다. 중앙 정부의 사업을 소홀히 하다 책임을 지게 될 것을 우려해 분명치 않을 경우 만리장성으로 포함시키는 현상도 일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만리장성이 진나라부터 명나라 시대까지 오랜 세월에 걸쳐 축조된 탓에 고증에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예를 들면 외딴 지방의 경우 만리장성의 돌과 흙을 가져다 길을 닦고 농사에 쓰기도 하는 등 현지 주민들은 만리장성이 자기 마을에 존재하는지조차 모르는 경우도 허다하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진행된 만리장성 조사 작업에 비춰볼 때 앞으로 12·5 계획 기간에도 ‘새로운 장성’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은 실정이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