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과징금’ 후폭풍… 건설업계 노심초사
입력 2012-06-06 19:13
건설업계가 4대강 사업 후폭풍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4대강 사업 공사입찰 과정에서 공사구간(공구) 배분 담합행위를 한 건설업체에 111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것을 계기로 4대강 사업에 대한 검찰수사는 물론 국정조사나 청문회 등 정치권의 핵심쟁점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당장 정치권은 담합 의혹을 명백히 밝히라며 검찰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민주통합당 이석현 의원은 6일 기자회견에서 “15개 공구에 걸친 낙찰 금액 전체가 예정가의 93.4%에 달해 일반적인 경쟁 입찰 낙찰가에 비해 적어도 1조원 이상 공사비가 부풀려졌지만 공정위는 10%에 불과한 과징금만 부과했다”며 “이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솜방망이 처벌”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4대강 사업을 주관한 국토해양부, 국토관리청, 한국수자원공사 등도 모두 수사하라”고 덧붙였다.
여기에 대통령 선거를 6개월 앞둔 상황에서 향후 정치권에 또 다른 게이트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특히 220억1200만원의 과징금이 부과된 현대건설과 이명박 대통령의 관계가 주목받고 있다. 이 대통령은 1965년 현대건설에 입사해 88년까지 근무했다. 이번 담합 사건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는 전 임원이 이 대통령과 각별한 인연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검찰 고발을 하지 않는 것은 측근 비리와 비자금 조성 등 4대강 혈세 비리 사업의 실체적 진실을 덮으려는 면죄부를 주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건설업체들은 정치권 헤게모니 싸움에 희생양이 됐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4대강 사업에 불만이 있던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건설사를 제물로 택했다는 주장이다.
과징금이 부과된 A업체는 “국가적 사업이라 정권의 눈 밖에 나지 않으려고 참여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손해를 봤으면 봤지 이득은 전혀 없었다”고 하소연했다.
서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