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책 실종된 민주당 대표경선
입력 2012-06-03 18:20
김한길·이해찬 후보가 각축을 벌이고 있는 민주통합당 당 대표 경선 결과가 오는 9일 전당대회에서 발표된다. 13차례의 전국 순회투표에서는 김 후보가 9차례 승리해 이 후보를 210표 차로 앞서 있다. 당초 박지원 원내대표와 소위 역할 분담론에 합의한 이 후보가 손쉽게 대표직에 오를 것으로 예상됐으나 지금까지의 당심(黨心)은 ‘이해찬 대세론’을 인정하지 않았다. 앞으로 남은 서울·경기지역 대의원 투표와 모바일 및 현장 투표는 판세를 충분히 좌우할 규모여서 누가 전당대회에서 웃을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 당원들이 대주주인 이해찬·박지원 두 사람 간 연대에 표를 몰아주지 않은 점은 평가할 만하다. 하지만 그뿐이다. 당 일각에서는 ‘흥행 대박’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으나, 일반 국민들도 그렇게 생각할 지는 의문이다. 국민참여 선거인단도 12만3200여명으로, 지난 1·15 전당대회 때의 64만여명보다 크게 줄었다.
무엇보다 선두 경쟁 중인 두 후보가 비전·정책 대결 없이 진흙탕 싸움에 몰두하고 있는 점이 볼썽사납다. 1, 2일 인천과 수원에서 열린 임시대의원대회 연설도 마찬가지였다. 김 후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당한 정치하라고 했는데 밀실·반칙 정치하고 있고, 지역정치 타파하라고 했는데 당 대표 충청, 원내대표는 호남으로 나눠 먹으려 한다”고 이 후보를 직접 겨냥했다. 이 후보 역시 “김 후보는 2007년 2월 ‘노무현의 실험은 끝났다’며 가장 먼저 23명의 국회의원을 데리고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사람인데, 이제 노 전 대통령을 이용하고 있다. 이런 사람에게 당을 맡겨선 안 된다”고 맞섰다. 게다가 당내 대선주자들이 선거에 개입됐다는 의혹 제기로 주자들도 상처를 입고 있다. 대표 경선이 올 대선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이다.
늦은 감이 있지만, 경선에 나선 후보들은 왜 경선을 치르게 됐는지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친노(親盧) 비노(非盧) 운운하며 인신공격하는 것을 중지하고, 4·11 총선 패배에 대한 반성과 당 개혁 방안을 놓고 격론을 벌이는 게 옳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