떼쓰는 인천시… “평창 수준 국비지원 안하면 아시안게임 반납”
입력 2012-05-30 19:04
인천시가 평창동계올림픽 수준의 국비지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부채 부담을 안고 있는 ‘2014 인천아시안게임’의 개최지 반납 등 정부에 대한 초강경 압박에 나섰다.
시는 이와 함께 심각한 재정 위기 극복 방안으로 일부 자산을 매각하고 도시철도 2호선의 준공을 연기하는 등의 자구책을 내놓았다.
송영길 인천시장은 30일 인천시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기자회견을 통해 “도시철도 2호선이 현금유동성 위기의 주원인”이라며 “아시아경기대회를 위한 경기장 건설 등 아시안게임용 지방채 발행은 시를 재정위기 자치단체로 몰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비는 총 2조1644억원, 2014인천아시안게임과 관련한 인천시의 부담비용은 1조9000억원이다.
시 관계자는 “이들 사업을 포함해 올해 말까지 1조2500억원, 2014년까지는 총 1조9000억원의 예산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송도6·8공구(34만7000여㎡)와 인천고속버스터미널 부지(7만7000여㎡), ㈜한진중공업이 기부채납하는 북항 상업용지 등의 자산매각과 추경예산 삭감 등을 통해 부족예산을 메울 방침이다. 또 당초 2014년 아시안게임에 맞춰 개통키로 한 도시철도2호선의 완공시기를 2016년으로 연기해 40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키로 했다.
시는 아시안게임 개최와 도시철도2호선 건설을 위한 중앙정부의 지원을 강력히 요청했다. 송 시장은 “국가보증 아래 2014인천아시안게임을 유치했지만 ‘서자’ 취급을 당하고 있다”며 “정부의 지원이 없을 경우 아시안게임을 중앙정부가 인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시안게임과 도시철도2호선에 대해 평창 동계올림픽 수준의 국가지원을 간곡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송 시장은 중앙정부의 조치로 정부가 인천국제공항 이용객들로부터 연간 1000여억원씩 가져가는 관광개발기금을 인천지역발전기금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현재 75대 25인 국세와 지방세 비중을 60대 40 구조로 변경할 것 등을 제시했다.
인천=김도영 기자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