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연’ 기독교 공격 속속 밝혀지는데… 인권위 “종자연 불교단체 아니다” 졸속 선정·무책임 논란
입력 2012-05-29 20:58
국가인권위원회 종교차별 실태조사 연구기관으로 선정된 종교자유정책연구원(종자연·공동대표 박광서)이 과거 한국교회를 공격했던 행적이 추가로 드러나면서(표 참조) 국가인권위원회에 여론의 화살이 집중되고 있다. 주요 정부기관인 국가인권위원회가 종자연의 안정성과 신뢰성, 공신력 등을 제대로 파악하지도 않은 채 연구기관으로 졸속 선정한 것이 명백해졌기 때문이다.
참여불교재가연대 부설단체인 종자연의 종교 편향적 행보는 광범위하고 심각하다. 이 단체가 2005년부터 집중적으로 문제제기한 이슈는 학내 종교자유 보장, 공무원의 종교적 중립강화, 종교편향 자치단체장에 대한 주민소환이다. 겉으론 그럴듯해 보이지만 내용은 모두 기독교 신앙을 표출하는 행위에 대한 문제제기다. 종자연은 심지어 ‘Jesus loves you’라는 문구가 적힌 고려은단의 옥외광고판까지 시비대상으로 삼았다.
그런 반면 종자연은 매년 185억원씩 820억원의 국고가 투입된 템플스테이나 수십억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연등회, KTX 통도사역 병기 논란 등의 이슈에 대해선 일절 함구했다. 이는 종자연의 종교편향적 성격을 그대로 보여준다. 종자연을 이끌고 있는 박광서 공동대표는 현재 한국교수불자연합회 이사와 한국불교재가회의 운영위원, 조계종 화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종자연의 이런 행보에 대한 불교 쪽의 반응은 자연히 우호적이다. 화계사에선 “종단과 사찰에서 앞장서기 어려운 일을 맡아주니 감사하다”며 종자연에 금일봉을 주었고, 천태종도 “종교자유 신장을 위해 용맹정진해 달라”며 1000만원의 후원금을 전달했다.
문제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시민단체를 표방하지만 한국교회를 주로 공격해온 종자연의 이런 행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종교에 의한 차별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용역을 줬다는 데 있다. 4200만원의 국가예산이 책정된 이 용역연구 발주는 기관의 안전성, 신뢰성, 공신력 확보여부, 과제의 목적·쟁점에 대한 이해 및 수행방법의 적정성이 평가기준이었다. 종자연이 이런 기준을 충족했다고 보기 어려운 데도 국가인원위원회는 단독응찰이라는 이유만으로 덜컥 선정해버렸다.
이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 관계자는 29일 “용역과제는 누구라도 응찰할 수 있으며, 제출 서류를 토대로 판단한다”며 “연구용역 1차 응찰결과 종자연 한군데만 해 재공고를 했지만 2차 공고에서도 지원 단체가 없어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과정을 거쳐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 “종자연이 불교단체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국가와 단체가 임의로 연구용역을 해지하려면 법률과 규정에 따른 분명한 사유가 있어야 한다. 법에 따라 엄격히 관리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이는 국가기관으로서 무책임하기 짝이 없는 태도라는 게 기독교계의 시각이다.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는 “종자연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불교는 자기 종교를 보호하기 위해 시민단체를 가장해 한국교회를 공격적인 종교, 종교 편향을 자행하는 곳으로 몰아붙였다”면서 “국가기관이 이런 종자연에게 종교차별 실태조사를 맡기고 그들에 의해 움직인다면 누가 국가 종교정책을 신뢰 할 수 있겠느냐”며 강하게 비판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