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악용한 시장교란 엄단”… 김석동 위원장 “일정규모 이상 잔액 보고제도 마련”
입력 2012-05-28 18:47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공매도를 악용한 시장 교란행위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난 26일 금융위 간부 및 출입기자들과 함께한 산행에서 “공매도로 인해 시장이 흔들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게 나의 새로운 메시지”라며 공매도를 관리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고 금융위가 28일 전했다.
공매도란 주식이나 채권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내는 기법을 말한다. 약세장에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가 활용하는 방식으로, 예컨대 사놓지 않은 A주식을 빌려서 비싸게 팔아놓고 싼 가격에 다시 사들여 시세 차익을 얻는다.
최근 주가가 폭락했을 당시에도 공매도 규모가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금융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그는 “지금까지 공매도의 주체와 대상 종목에 대한 파악이 잘 안됐다”며 “종목별·투자자별로 즉시 당국이 파악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우선 일정 규모 이상의 공매도 잔액이 있는 투자자들은 당국에 보고하도록 시행령에 반영하고 관련 규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제도적 장치와 함께 시장 감시도 강화할 계획이다.
그는 “공매도는 시장의 역할을 윤활하게 하는 등 순기능이 있지만 공매도 세력에 의해 시장이 흔들리는 역기능이 있다”며 “공매도로 인해 시장이 교란되는 것을 금융당국이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영업정지된 저축은행 매각과 관련, “부실을 다 털어주겠다는데 왜 안 사겠느냐”면서 “사겠다는 금융회사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건설사 등이 인수했더니 결과가 이렇지 않느냐”면서 “(매수 주체는) 금융회사가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오종석 기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