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시리아 살인정권 축출에 세계가 합심해야

입력 2012-05-28 18:13

도대체 이런 정부가 어떻게 있을 수 있는가. 어느 나라건 정부의 제1 임무가 자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할 때 제 나라 국민을, 그것도 어린이와 여성들까지 무차별 학살하는 정부의 존재이유는 무엇인가.

14개월째 반독재 민중봉기가 계속되고 있는 시리아에서 대포와 탱크를 앞세운 정부군과 친정부 민병대에 의해 어린이 49명과 여성 34명을 포함한 108명이 학살되는 최악의 참사가 벌어졌다. 아무리 국가 주권이 중요하다 한들 국제사회가 이런 정부마저 내버려두어서는 안 된다. 인류의 양심이 허락하지 않는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의 말처럼 “살인과 공포를 내세워 통치하는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은 종식돼야”하며 이를 위해 전 세계가 합심해야 한다.

시리아 정부는 이번 학살이 반정부세력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지에 파견된 유엔 감시단과 주민들에 따르면 정부군과 ‘샤비하’라 불리는 친정부 민병대 짓임이 명백하다. 현장에 남겨진 탱크 잔해라든가 바샤르가 속한 소수 시아파의 분파인 알라위파 신도들이라는 샤비하가 휘두른 칼에 희생된 시신들의 모습이 이를 입증한다.

바샤르는 2000년부터 시리아를 철권통치 해왔다. 하지만 아버지 하페즈부터 따지면 알 아사드 독재체제는 42년째다. 이에 따라 ‘아랍의 봄’ 물결을 타고 지난해 3월부터 민주화시위가 벌어졌다. 바샤르는 시위대를 철저하게 무력 탄압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1만3000명 정도가 목숨을 잃었다. 그런데도 국제사회가 이를 방관하다시피 함에 따라 어린이 대량 학살이라는 참극까지 빚어진 것이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가장 강력한 용어로’ 시리아 정부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거기에 그쳐서는 안 된다. 예멘 방식이 됐든 리비아나 이집트 방식이 됐든 알 아사드 체제를 종식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러시아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시리아의 맹방’ 러시아는 무기 판매 등에 따른 경제적 이익이나 시리아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 상실을 우려하고 있겠지만 그 같은 소아병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존경받는 대국이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