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도스 특검 막바지 수사… 김효재 前수석 소환조사

입력 2012-05-27 19:07

지난해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일에 발생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디도스(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사건에 대한 특별검사팀 수사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특검팀은 사건을 은폐하거나 조작한 배후를 캐기 위해 경찰 수사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는 청와대를 직접 겨냥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박태석 특검팀은 27일 김효재(60)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소환 조사했다. 김 전 수석은 지난해 12월 경찰의 디도스 사건 수사 당시 조현오(57) 경찰청장과 2차례 통화한 것으로 알려져 외압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특검팀은 지난 23일 조 전 청장을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은 김 전 수석을 상대로 조 전 청장과 통화한 경위와 내용, 수사기밀 유출·압력 여부 등을 조사했다. 특히 주모자인 국회의장 전 의전비서 김모씨가 지난해 10월 20일 최구식 의원 운전기사 공모씨에게 1000만원을 송금한 사실이 경찰 수사결과 발표에서 누락된 과정에 개입했는지 따졌다. 또한 선거일 전날 청와대 행정관 박모씨가 김씨 등 디도스 공격실행자들과 저녁식사 또는 술자리를 함께했던 사실이 드러나지 않도록 압력을 행사했는지 추궁했다.

오전 10시쯤 서울 역삼동 특검 사무실에 출석한 김 전 수석은 “디도스 사건과 관련해 제가 수행한 일은 정무수석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고유의 업무였다”며 “수사기밀 누설이라든가 사실의 은폐 등은 있을 수도 없는 일이고 생각해 본 적도 없다”고 밝혔다. 그는 “정무수석으로서 정당한 업무수행으로 인해 특검의 조사를 받는 상황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이런 생각을 숨김없이 모두 밝히고 특검조사에 성실히 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3월 26일 수사에 착수한 특검팀은 60일 이내에 수사를 완료하고 공소제기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1회에 한해 수사기간을 30일 연장할 수 있다.

김재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