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통진당 관행·노선 더 분명히 고쳐야

입력 2012-05-25 17:47

통합진보당 ‘새로나기 특별위원회’ 박원석 위원장은 어제 한 인터뷰에서 “북한과 관련된 문제들에 있어 국민들이 보편적인 인식을 갖고 있고, 어느 정도 확인된 문제들에 대해서까지 우린 말할 수 없다는 태도는 온당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대할 것은 반대하고, 비판할 것은 비판하는 것이 오해를 사지 않을 수 있는 태도”라고 했다. 이석기 당선자 등 당내 주사파 출신 당선자들이 북한 핵문제나 3대 세습 체제에 명확한 입장 표명을 회피하고 있는 것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셈이다.

2008년 촛불집회 상황실장을 역임한 뒤 비례대표 6번을 받아 지난 총선에서 당선된 박 위원장은 당 공식행사에서 애국가를 부르지 않는 관행에 대해서도 다소 전향적인 견해를 밝혔다. “국민들이 불편해하고, 또 그로 인해 통진당의 국가관 같은 것이 집단으로 의심을 받는 상황이라면 그 문제를 바꾸는 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며 “필요하다면 해야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한 것이다.

박 위원장은 “(당내에서) 나를 개량주의라고 욕해도 좋다”며 혁신 의지를 나타냈다. 하지만 그의 발언을 뜯어보면 애매한 부분들이 엿보인다. 애국가 제창 문제만 하더라도 그는 잘못을 인정하는 태도가 아니라, 통진당의 관행이었는데 국민이 불편해하면 부를 수 있다는 수준이다. “애국가를 부른다고 권위주의적 국가관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는 말도 했다. 국민 눈높이에 비춰볼 때 너무 안이한 인식이다. 그가 북한 인권과 핵 문제에 대해선 “비판할 건 해야 한다”면서도, 3대 세습에 대해선 “북한 체제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부분이 있어 자꾸 비판해봐야 별 효과도 없고, 실익도 없다”고 언급한 대목도 석연찮다.

통진당은 대수술이 불가피하다. 무엇보다 북한 체제를 맹종하는 이들을 솎아내고 종북 색채가 짙은 정책노선 전반을 손질하는 것이 절실하다. 그러지 않고는 냉소를 면할 수 없다. ‘새로나기 특위’가 그 이름에 걸맞은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