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압수수색 이후] 새누리, 이석기·김재연 의원직 제명 추진

입력 2012-05-23 22:07

비례대표 경선 부정 파문과 중앙위원회 폭력사태 이후 착착 진행되던 통합진보당 신당권파의 ‘혁신’ 시나리오가 검찰의 당원명부 서버 압수로 뒤엉켜버린 모양새다.

이석기, 김재연 19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당선자 출당 조치를 시작으로 속전속결로 밀어붙이려던 당초 계획이 주춤하게 된 것이다. 강기갑 혁신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지붕 고치고 있는데 도둑이 든 격”이라며 검찰의 압수수색 강행을 강력 비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신당권파는 구당권파 비례대표 공천자 전원을 출당시킨 다음 중앙위 폭력사태 당사자들 제명, 당 재정 및 조직운영권 장악, 6월 말 전당대회를 통한 신당권파 대표 체제 출범 순서로 구당권파 일소 계획을 실행할 태세였다.

그러나 비례대표 당선자 1차 마감시한이었던 지난 21일 아침 검찰이 압수수색을 강행함으로써 당내 분위기가 ‘구당권파 혁신’에서 ‘검찰 수사 중단 대책 강구’ 쪽으로 급격히 바뀌어 버렸다. 이런 마당에 신당권파는 무조건 ‘이석기, 김재연 출당’ 카드를 내밀 수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신당권파의 걱정은 25일로 사퇴 시한이 연기되면서 구당권파에 반격을 준비할 시간적 여유와 빌미가 생겼다는 데 있다. 신당권파는 유시민 전 공동대표의 국민참여당계와 심상전 전 공동대표, 노회찬 전 대변인의 민중민주(PD)계열 진보신당 탈당파, 인천·울산연합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인천·울산연합은 당내 권력 판도에 따라 구당권파로 ‘배를 갈아탈 수도 있는’ 세력으로 분류된다. 원래 노선이 구당권파 핵심인 경기동부연합과 같은 민족해방(NL)계열이어서다.

이를 반영하듯 당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혁신 비대위의 ‘사퇴시한 연기’를 비판하는 글들이 쇄도하고 있다. 한 당원은 “강기갑 혁신 비대위조차 구당권파 눈치를 보고 있는 것 아니냐. 사퇴기한이 연장되면서 구당권파와의 선 긋기는 끝났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이 ‘종북 주사파’ 논란에 휩싸여 있는 이석기, 김재연 당선자에 대한 국회의원직 제명을 추진키로 하고, 조만간 민주통합당에 공식 제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