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양극화 도시보다 심하다… 상·하위 소득 격차 12배 넘게 커져

입력 2012-05-22 18:46


농촌사회의 양극화가 도시지역보다 훨씬 더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농가소득의 1분위계층(하위 20%) 대비 5분위계층(상위 20%) 소득은 2005년 9.6배에서 2010년 12.1배로 확대됐으나 같은 기간 도시가구의 경우는 5.4배에서 7.1배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 농가 간 격차 수준이 도시가구를 크게 압도하고 있다.

◇농촌사회 구성원 변화가 원인=2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기존 사회통계조사, 가계동향조사 농가경제조사 등의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농촌의 양극화 실태와 시사점’ 보고서를 내놓았다. 농촌에서도 농사를 짓지 않는 비농가의 경우는 같은 기간 7.7배에서 6.8배로 큰 변화가 없었다. 농가의 소득계층 간 격차가 도시가구, 농촌지역 비농가보다 더 크고 양극화 경향 또한 더 일찍부터 진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그래프 참조).

보고서는 농촌사회 양극화의 원인으로 농촌사회의 구성원 변화에 주목했다. 고령화, 다문화·조손가족, 그리고 도시 은퇴자들의 귀농·귀촌 등이 늘어나면서 농촌사회 내부의 동질성이 약화됨과 동시에 양극화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소득·고용·교육·건강만족도 열악=보고서는 기존의 통계청 자료에 더해 올 2월 전국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농촌지역 주민들은 생활 전반에 대해 만족도가 도시보다 더 낮았다.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주관적인 소득만족도 동향을 보면 농촌은 불만족자 대비 만족자 비율이 2003년 25%에서 2011년 21%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도시는 24%로 비슷했다. 농촌의 근무환경 만족도도 최근 악화되고 있으며 교육비 부담을 느끼는 계층도 증가하고 있다.

또 농촌 주민들은 양극화가 전방위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소득 부문에 대해 양극화 인식은 전체의 58.3%였으며, 고용 부문 55.1%, 교육 부문 41.4%, 건강 부문 36.5%, 사회참여 부문 46.9% 등이었다.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부의 공생발전 정책에 대해 농촌 주민들이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25.7%로 낮은 편이었으나 이 같은 정책의 방향에 대해 공감하는 비율은 52.7%로 비교적 높았다. 양극화 개선을 위한 우선 과제로서 의료 31.8%, 소득보장 31.1%, 일자리 기회 확대 19.7%의 순이었으며 이 밖에도 교육, 주거 및 기초생활여건, 위약계층 복지 강화 등을 거론했다.

보고서는 농촌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시장의 논리보다 농업·농촌 개발의 관점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용래 기자 choy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