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근혜 친정체제’ 완성됐지만
입력 2012-05-21 19:11
새누리당 사무총장에 친박계인 4선의 부산 출신 서병수 의원이 임명됐다.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대신할 정상적인 당 지도부 구성이 마무리됐다는 뜻도 있지만, ‘박근혜 친정체제’가 완성됐다는 의미가 크다. 범친박계 또는 신박(新朴)계로 분류되는 황우여 대표와 ‘박근혜 경제교사’로 통하는 친박 핵심 이한구 원내대표에 이어 당의 재정과 조직을 총괄하는 사무총장까지 친박계가 싹쓸이했기 때문이다. 5·15 전당대회에서 황 대표와 함께 선출된 최고위원 4명 가운데 3명도 친박계다.
이를 놓고 양론이 있다. 하나는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9대 총선에서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새누리당을 극적으로 구해냈고, 총선 이후 친박계가 당내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친박계의 전진 배치는 불가피했다는 시각이다. 반면 새 지도부 라인업이 지나치게 친박 일색이라는 점을 들어 ‘친박당’ 혹은 ‘박근혜 사당(私黨)’이라는 비난도 있다. 친박계의 중용이 새누리당에 반드시 득(得)만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일례로 당내의 결속력은 강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외연을 넓히는 데에는 장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새 지도부의 일차 과제는 19대 국회를 원만하게 이끌어가는 일이다. 대선을 앞두고 있어 개원 협상 때부터 권력형 비리 규명을 위한 특검 도입이나 국정조사 실시 등 야권의 대여 공세가 강화될 소지가 다분하다. 이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면서 총선 공약 이행과 민생을 챙기는 일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대선후보 경선의 공정한 관리에도 한 치의 허술함이 있어선 안 된다. 박 전 위원장의 대중적 인기가 높은데다 새누리당을 친박계가 장악함으로써 박 전 위원장이 매우 유리한 국면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경선을 불공정하게 끌고 갈 경우 역풍을 맞게 될 것이다. 소위 비박(非朴) 대선주자들이 요구하는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문제도 신중하게 결론을 내리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