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개지는 통합진보당] ‘비례 경선 부정 의혹’ 보고서… “휴대전화 010-0000-0000으로 적힌 투표 8건”
입력 2012-05-20 19:02
통합진보당 신당권파는 20일 비례대표 경선 부정 의혹에 대한 중앙위원회 진상보고서를 공개했다. 구당권파의 당원 비상대책위도 인정하지 않았다.
진상보고서 내용은 지난 12일 중앙위에서 발표하려다 폭력 사태로 공개하지 못한 경선 부정 사례가 자세히 기록된 것이다. 이날 출범한 구당권파의 당원 비대위를 겨냥한 것으로, 사퇴 시한(21일)을 하루 앞둔 두 당선자를 압박한다는 의미도 있다.
보고서는 “부실은 인정하지만 부정은 아니라는 (구당권파) 주장이 있는데, 최고 도덕성을 요구받는 진보정당에서 규정과 절차 위반은 부정”이라고 단언했다. 보고서는 온라인투표 시스템이 최소한의 신뢰성이 없었고, 관리·통제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으며, 판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투표자 현황 정보가 특정 당직자에게 독점돼 투표정보 유출 정황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투표 참여자 샘플조사 결과 휴대전화와 주민등록번호가 중복, 잘못 기입된 경우가 모두 43차례 적발됐다. 주민번호 뒷자리가 모두 8차례 중복됐고 주민번호가 아예 없는 경우도 2차례 있었다. 주민번호 자릿수 체계가 맞지 않는 경우도 15건이나 된다.
온라인 투표를 위한 인증번호를 받기 위해 휴대전화 번호는 정확해야 한다. 그런데 전화번호 중복 사례가 12건이다. 다른 전화번호로 인증번호가 보내져 대리투표 가능성이 아주 높다는 뜻이다.
또 휴대전화 번호가 숫자가 아닌 문자로 기록됐거나, ‘010-0000-0000’으로 적힌 경우도 8건이다. 특히 휴대전화 번호도 없는 온라인 투표자도 존재했다.
선거인 명부는 ‘3월 5일=7만5251명’ ‘15일=7만4693명’ ‘18일=7만4794명’으로 줄었다가 다시 늘었다. 총 투표자 수도 ‘18일=온라인 3만6487명, 현장 4853명’으로 발표됐다가 21일에는 ‘3만5512명, 현장 5455명’으로 바뀌었다
보고서는 “진상 조사에 미흡한 점이 있지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없다. 석고대죄의 심정으로 매를 맞아야 한다”면서 “총체적 부실·부정 선거”라고 규정했다.
혁신 비대위 이정미 대변인은 “당 대표기구는 중앙위 결정에 따라 구성된 혁신 비대위이며 강기갑 위원장이 당을 대표한다”고 발표하며 당원 비대위가 비공식 기구임을 못 박았다.
이석기 김재연 19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당선자의 버티기를 비판하는 당원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경기도 안산 지역위원회는 당 게시판에 올린 결의문을 통해 “그동안 독버섯처럼 자란 패권주의와 분파주의는 당을 망친 주범”이라며 “당권에 집착하며 기득권을 행사한 세력에 대한 인적 청산이 이뤄지고 출당과 제명 징계가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명호기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