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北의 中어선 나포… ‘정체’ 밝히지 않은 채 거액의 몸값만 요구

입력 2012-05-18 18:42

북한과 중국이 중국 어선 억류 사건을 둘러싸고 갈등 국면을 보이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중국 어선 3척이 지난 8일 나포된 뒤 열흘이 지나면서 북한에 대해 반감을 표시하는 글들을 인터넷에 올리기 시작했다.

더욱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인이 북한 사람들과 공조해 이번 사건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억류된 선주들의 말을 인용해 18일 보도했다.

중국과 북한은 이 사건을 놓고 협상에 들어갔으나 18일 현재까지 자세한 경과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반관영 통신사인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의 인터넷 사이트는 17일 랴오닝성 공안변방총대(公安邊防總隊)의 변경관리처가 북한 측과 교섭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변경관리처 관계자는 “이번 사건 처리 과정을 밝히기는 쉽지 않다”며 “협상 성과가 있으면 선주에게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인민일보 인터넷판은 18일 북한주재 중국 대사관이 지난 16일부터 경위 파악에 나섰다고 전했다. 그러나 북한 정부는 “중국 어선 한 척이 경계선을 넘어 불법 어로를 하다가 붙잡혔다. 자세한 내용은 확인하고 있다”는 답변만 내놓았다고 한다.

이에 대해 양국의 영사 분야 협력이 원활치 않다거나 외화벌이 차원에서 일부 지방 군인들이 저지른 돌출 행동이어서 북한 당국도 상황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사건은 불법 어로 행위에 대한 국가의 공권력 집행으로 보기에는 의심되는 부분이 많다. 중국 어선을 나포한 세력들이 정체를 밝히지 않은 채 중국 선주들에게 집요하게 거액의 돈만 요구하고 있는 게 이를 뒷받침한다.

이들은 처음에 몸값으로 120만위안(약 2억2000만원)을 요구하다가 이제 90만위안으로 다소 낮췄다. 이번 사건은 북한과 중국의 서해 경계선인 동경 124도 인근 해상에서 일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어민들은 어선에 부착된 위성항법장비 자료를 근거로 대면서 자신들이 경계선을 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불법 조업 여부가 양국간 논란의 초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현재로서는 양국간 특수성을 고려해 극도로 절제된 대응을 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상황 전개에 따라서는 양국간 불협화음이 고조될 수도 있다. 시나닷컴 웨이보에 올라온 글 중에는 “조선도 아덴만의 수법을 따라 해적질을 시작했다”고 비판하거나 “조선같이 배은망덕한 나라는 빨리 한국에 합병돼 버렸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