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국민경선제 안되면 중대 사태 일어날 수도”… 새누리당, 경선 룰 싸고 시끌

입력 2012-05-18 22:25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 출마를 선언한 이재오 의원이 경선 룰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가 도입되지 않을 경우 ‘중대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의원은 18일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해 ‘완전국민경선제가 도입되지 않고, 현행 룰로 경선이 진행된다면 참여하겠느냐’는 질문에 “그건 그때 가 봐야 알겠지만, 중대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진행자가 “중태 사태가 어떤 것이냐”고 묻자 “그때 가 봐야 알 것 같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일각에서는 그가 경선 불참 등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 의원은 “현행 방식으로 경선이 강행돼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새누리당 대선후보로 뽑힐 경우 적극 지원하겠는가”라는 물음에는 “경선 방법을 일방적으로, 모든 주자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어느 한쪽으로 유리하게 한다면 그때 가서 생각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당 안에서도 예비후보로 등록하면 당의 각종 회의에 후보들이 상임고문 자격으로 참여해 의견을 개진하게 돼 있다”고 말해 앞으로 당 공식 회의에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주장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처럼 이 의원이 완전국민경선제 관철에 배수진을 침에 따라 이 문제는 여당 내 최대 난제가 됐다. 이 의원이 정몽준 전 대표, 김문수 경기지사 등 비박(非朴·비박근혜) 주자들과 함께 연합전선을 펴면 박 전 위원장도 마냥 무시할 수만은 없기 때문이다. 정 전 대표도 이날 전주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행 제도는 국민들의 참여와 지지를 거부하는 아주 잘못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금 박 전 위원장이 여론조사에서 1등을 하지만 미국 대선을 보면 여름에 1등 한 사람이 11월에 1등 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며 “지금 (지지율) 1등이 대선까지 1등으로 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비박 진영의 강경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가운데 친박계 내부에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은 어렵다면서도 흥행을 위해 현행 경선 룰 일부를 수정할 수 있다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