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 2·3단지 소형 30%이상 의무화
입력 2012-05-17 19:17
소형가구 비율 확대를 놓고 서울시와 첨예한 갈등을 빚었던 개포주공 2, 3단지가 결국 백기투항했다.
개포 2, 3단지는 논란이 됐던 소형가구 비율을 모두 30% 이상 확보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17일 “전날 열린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개포주공 2, 3단지 ‘재건축 정비구역지정안’을 통과시켰다”며 “개포지구 재건축 진행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개포 2, 3단지 주민들의 반발을 의식한 듯 직권상정이라는 강공을 선택했다.
네 차례나 심의가 반려된 상황에서 구청이나 재건축 추진위원회와 재논의를 하기 보다는 직권상정으로 처리하는 게 낫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는 정비계획 통과로 다른 단지의 재건축 진행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과된 정비안에 따르면 소형아파트 비율은 2단지가 34.2%, 3단지는 30% 이상을 확보하기로 했다. 또 2, 3단지 각각 1836가구, 1272가구 규모에 최고 35층부터 최저 7층까지 다양한 높이의 아파트를 짓도록 했다.
주민들의 반발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개포지구 재건축조합은 소형아파트 비율을 20∼22%로 해 달라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서울시는 소형주택 수요가 증가하는데다 재건축으로 기존 소형 주택이 철거될 경우 소형면적 공급이 악화될 것을 우려해 비율을 상향 조정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개포 3단지가 27.3%로 조정안을 내놨으나 결국 서울시는 비율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리라는 조건으로 가결했다.
개포동 G공인중계소는 “이번 결정으로 주민들도 양분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소형아파트 비율이 높아지면서 원하는 평형을 배당받지 못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목소리와 재건축이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입장이 대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개포지구 내 가장 큰 재건축 단지인 개포주공 1단지는 여전히 소형주택 확대와 부분임대 도입에 부정적”이라며 “이번 결정이 개포지구 재건축 사업에 큰 영향을 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