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강행” vs “비상대책”… 서울버스 멈춰서나

입력 2012-05-16 18:34

서울시 버스노사가 임금인상 등을 둘러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파업 상황을 맞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노사 양측은 16일 오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유한철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정을 시도했다. 하지만 노사는 임금인상안에 쉽게 합의하지 못한 채 밤늦게까지 줄다리기를 계속했다. 사실상의 사업자인 서울시도 참여했다.

임금 9.5% 인상을 요구하는 버스노조는 18일 오전 4시부터 전면 파업을 강행하겠다며 사측과 서울시를 압박했다. 노조는 17일 오후 3시 서울역 광장에서 조합원 5000여명이 참여하는 파업출정식을 예정대로 열겠다는 입장이다.

사측은 임금인상 불가입장을 고수했다. 시 역시 올해 시내버스 요금 150원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내버스 재정지원금은 3016억원이 부족해 어려운 실정이라는 이유로 사측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조정과정에서 노조 측은 비난 여론을 의식해 임금인상률을 4∼5%로 낮출 수 있다는 자세를, 시 역시 파업 책임문제 때문에 ‘무조건 동결’ 입장에서 한 발짝 물러서 2% 이하 인상을 수용할 수도 있다는 자세를 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이 두 입장 사이에서 어떤 결정이 도출될지 주목되고 있다.

시는 노조의 파업강행 시 초·중·고 등교시간을 비롯해 정부 및 시 공무원 출근시간을 오전 10시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또 서울시내로 진입하는 경기·인천 버스의 증차·증회 운행을 경기도와 인천시에 요청했다. 25개 자치구에서는 지하철역까지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박원순 시장은 17일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시 버스노조의 파업강행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하겠다고 밝힐 예정이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