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개지는 통합진보당] ‘강기갑 비대위’ 강력쇄신 시동… 비대위원 1차 발표
입력 2012-05-16 21:47
통합진보당의 강기갑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1차 비대위원 4명 명단을 발표했다. 권태홍 전 국민참여당 사무총장과 민병렬 진보당 부산시당 위원장, 인천연합 출신의 이정미 전 선대위 대변인, 진보신당 탈당파의 이홍우 전 민노총 사무처장 등이다.
17일 발표 예정인 당 외부인사로는 진보 경제학자 정태인 성공회대 겸임교수, 김민웅 성공회대 교수 등이 거론되고 있다. 조국 서울대 교수와 공지영 작가는 개인적 이유 등으로 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신당권파의 비대위는 구성이 되자마자 회의를 갖는 등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첫 안건은 이석기, 김재연 당선자 사퇴였다. 그만큼 최우선 과제다. 강 위원장은 “19대 국회의원 임기가 시작되는 오는 30일 안에 반드시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는 사퇴를 권고하되 계속 버틸 경우 출당 조치도 검토키로 했다(본보 16일자 1·3면 단독보도). 강 위원장은 회의 직후부터 모든 비례대표 후보들을 만나 사퇴를 종용하고 있다.
강 위원장은 회견에서 “재창당의 의지와 각오가 아니면 살아남기 어렵다”고 대대적인 쇄신 의지를 밝혔다. 이어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을 방문, 비대위 참여를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실망을 넘어 분노스럽다”며 “봉합비대위가 아니라, 가죽까지 새로 한다는 각오가 없으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강력한 쇄신을 위해 국민적 비난을 받고 있는 중앙위 폭력사태 관련자들을 적극 색출키로 했다. 그는 “당내 조사위를 바로 설치하고, 진상 조사를 해 처벌 절차를 밟겠다”고 강조했다. 이 진상 조사는 사실상 종북주의 주사파를 축출하는 작업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이번 폭력사태의 진원지로 지목되는 곳이 당권파 주축인 경기동부연합과 광주전남연합 등이다. 이들이 폭력사태에 상당히 연루된 것으로 알려져 출당이나 제명 등의 강력한 조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통합진보당에서 친북의 색깔을 빼내자는 것으로 강 위원장이 재창당이라고 강조한 것은 바로 이런 배경을 깔고 있다.
비대위 역할 중 주목되는 부분은 사무총장실 전면 개편이다. 그동안 사무총장 관련 업무는 당권파가 아니면 당대표마저도 접근이 쉽지 않았다. 조직과 돈을 장악한 사실상 당권파의 아지트였다. 신당권파는 당권파 사무총장을 이미 해임했다. 사무총장 업무는 비대위원인 권태홍 민병렬 공동집행위원장으로 넘어갔다.
신당권파가 그동안 접근하지 못했던 사무총장실 업무를 점검해보면 비상식적 인사나 은밀한 돈거래 등 ‘그들끼리의 업무 행태’가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비대위는 이를 ‘청소’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상당한 수준의 법위반 사례가 발견되면 당 차원에서 책임져야 할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비대위는 그럴 경우를 대비해서라도 당과 이석기, 김재연 당선자를 출당시킬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진보 진영 내부에서는 혹시 진행될지도 모를 공안 당국의 수사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명호 기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