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체제 첫날부터 충돌… 與 ‘경선룰 전쟁’ 공 울렸다

입력 2012-05-16 21:45


황우여 대표 체제의 새누리당 지도부가 출범 첫날부터 대선후보 ‘경선 룰’을 놓고 충돌했다. 친박근혜계와 비박계가 입장을 달리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새 지도부의 최대 현안으로 부상했다.

새누리당은 16일 여의도 당사에서 첫 최고위원 회의를 열었는데, 이 자리에서 유일한 친이명박계인 심재철 최고위원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공식 제안하고 나섰다.

심 최고위원은 “황 대표가 당선 직후 기자회견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한다 안 한다는 결정되지 않았고 문제가 없는지 사전에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저도 마찬가지”라며 “당 사무처에서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본격적으로 실무적 검토를 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자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즉각 반발했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실질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는 쉽지 않은 얘기”라며 “우리 내부에서 검토하는 것은 의미가 있지만, 공식적으로 지도부가 실무 검토를 시키고 공식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당의 대선후보 선출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룰을 다시 조율한다면 논의 과정에서부터 좋지 않은 모습이 나타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황 대표는 “당에서 심도 있게 검토하겠다”며 “경선을 하려면 시간이 없으므로 가능한 빨리 결론을 내겠다”고 말했다. 특히 황 대표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헌·당규에 따라 8월 21일까지 대선 후보를 뽑아야 한다”며 “거론되는 대선 주자들을 당 회의에 참여시키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 비박 주자들은 “당의 대선승리가 최대 관건”이라며 “대선 후보 경선위원회를 빨리 구성해 오픈프라이머리 등 엄정하게 경선 룰을 결정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이 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박 전 위원장도 대선 후보 중의 한 명”이라며 “오픈프라이머리로 경선 룰을 고쳐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현재 새누리당 경선은 선거인단 80%(대의원 20%, 당원 30%, 일반국민 30%)와 여론조사 20%를 합산하는 방식이다.

한편 정 전 대표는 대전시당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통합진보당 폭력사태는 투명성 문제 때문에 발생했다. 우리 당 지역구 공천이 투명했는지, 비례대표 공천자 중 누구는 왜 1번이고, 누구는 왜 24번인지 (당에서) 설명을 들어보지 못했다”면서 “투명성 면에서 통합진보당보다 낫다고 할 수 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친박 측 대응에 따라 파문이 일 것으로 보인다.

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