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당, 야권연대 정책합의 필요한가

입력 2012-05-15 18:24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18번 강종헌 후보가 “평양에서 제대로 밀봉교육을 받고 남파됐던 핵심 분자”라는 증언이 나왔다.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배후로 구속됐던 김현장씨가 인터넷 신문 조갑제닷컴에 게재한 공개편지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씨에 따르면 강 후보가 자신과 함께 수감 생활을 하던 중 “(1심에서) 평양에 들어가 김일성을 보고, 간첩 교육을 받았다고 사실대로 진술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강 후보는 1975년 ‘재일동포유학생간첩단’ 사건으로 사형을 선고받고 13년간 복역했었다. 강 후보는 통진당 당권파가 영입한 케이스다.

강 후보 외에도 당권파 상당수는 과거 친북 또는 좌익 활동을 하다 처벌받았으나 지금까지 전향하지 않은 이들이다. 이석기 비례대표 당선자와 이의엽 정책위의장은 반국가단체 민족민주혁명당 활동을 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구속됐었다. 최기영 정책기획실장은 일심회 간첩단 사건에 연루돼 3년여 복역했다. 이정희 전 공동대표의 남편은 민혁당과 일심회 사건 변호인이었다.

이처럼 비례대표 부정 경선 파문을 일으킨 통진당 당권파의 실체가 속속 드러나면서 민주통합당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통진당과의 연대를 지속할지 여부가 핵심이다. 연말 대선에서 박빙의 승부가 예상되는 만큼 연대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연대하자니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도 있을 듯한 상황이니 고민일 것이다.

하지만 통진당 당권파와의 연대는 대선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해가 될 것이란 점은 분명하다. 국민들은 이미 그들을 버렸다. 민주당에 불똥이 튈 소지도 있다. 민주당이 3·10 야권연대 공동정책합의문을 체결한 당사자가 이정희 대표를 비롯한 통진당 당권파이기 때문이다. 당시 민주당이 당권파의 실상을 알고 있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조속한 시일 내에 통진당 당권파와 맺은 정책합의문을 파기하는 게 옳다. 대선에서의 승리를 바란다면 제주 해군기지 건설 중단과 한·미 FTA 반대 등 통진당 당권파에 질질 끌려 다니며 합의한 공약부터 철회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