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요지경된 포스코 배후인물 누군가
입력 2012-05-14 18:09
세계 3위 철강업체 포스코를 둘러싼 의혹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권 실세의 포스코 회장 인사 개입, 제이엔테크 특혜설, 학교법인 포스텍의 무리한 투자 등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포스코 회장 인사에 개입한 점이다. 박 전 차관은 2008년 무보직 상태에서 박태준 전 회장, 포스코 이구택 회장, 윤석만 사장을 만나 이 회장 후임을 물색했다고 한다. 당시 윤 사장의 회장 취임이 유력했으나 박 전 차관이 개입해 정준양 현 회장으로 낙점됐다는 것이다. 윤 사장을 불법 사찰했다는 의혹까지 불거진 상태다. 박 전 차관의 배후 인물이 누구인지 밝혀져야 한다.
박 전 차관이 윤 사장과 정 사장 등을 면담하는 자리에 영포(영일·포항) 라인의 자금관리책으로 의심을 받고 있는 이동조 제이엔테크 회장이 배석했다고 한다. 협력업체 대표가 낄 자리가 아니라는 점에서 박 전 차관과 이 회장의 막역한 관계를 알 수 있다. 제이엔테크의 포스코 거래 실적이 3년 새 8배가량 증가한 이유가 궁금하기 짝이 없다.
정 회장 취임 후 3년 간 포스코 계열사는 36개에서 71개로 늘었지만 공격적인 인수·합병 등의 여파로 부채 비율이 2009년 54.5%에서 2011년 92.4%로 급증했다.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이 포스코의 신용등급이나 신용등급 전망을 낮췄다. 급기야 포스코는 보유 중인 SK텔레콤·KB금융·하나금융 지분을 매각해 현금을 확보하는 등 재무개선이나 구조개편 등에 나섰다.
학교법인 포스텍이 부산저축은행에 500억원을 투자했다가 날린 경위도 의혹투성이다. 포스텍은 이사회 의결을 거치지 않고 투자했고, 사후에 투자 사실을 이사회에 보고하지도 않았다. 이구택 이사장의 지시로 무리하게 투자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국민기업’ 포스코는 의혹과 잡음을 해소해야 할 책무를 잊어서는 안 된다. 정치권, 특히 여권은 포스코 경영진 인사에 개입하려는 유혹을 과감히 떨쳐내기 바란다. 포스코가 세계 철강업체와 경쟁하려면 전문 경영인이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