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비례대표 물러나는 것이 통진당 1차 해법
입력 2012-05-14 18:08
통합진보당 중앙위원회가 14일 혁신비대위 구성안과 경선을 치른 비례대표 당선자 및 후보 총사퇴를 포함한 혁신결의안을 가결했다. 지난 12일 폭력사태를 일으켰던 당권파들은 법적 효력이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당권파의 최고 실세라는 이석기 당선자를 포함한 비례대표들의 사퇴는 출발에 불과하다. 뼈를 깎는 개혁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돌아선 민심을 되돌릴 수 없을 것이다.
국민들은 통진당 비례대표 후보 경선 과정에서 자행된 부정 사례들을 접하면서 실망했다.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폭력사태는 통진당에 표를 준 200만명 넘는 지지자들을 절망시켰다. 두 과정에서 진보 정당의 주축 세력이 기초적인 민주적 소양조차 결여된 채 목표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사실이 낱낱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진보 정당에서 새로운 정치의 가능성을 바라봤던 국민 가운데 상당수가 국회의원이나 정당인은 차치하고 공민으로서의 역할조차 제대로 해낼지 의심스러운 통진당 당원들의 행태에 기대를 접었다.
통진당이 국민의 지지를 회복하려면 피눈물 나는 환골탈태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비례대표 당선자 몇몇의 사퇴만으로는 떠난 민심을 다시 찾기 역부족이다. 당원들이 기본적인 민주적 절차를 지키며, 아집에 사로잡혀 마구잡이로 생떼를 쓰지 않고 상대 정파의 존재를 인정하는 성숙된 자세를 갖췄다는 신뢰를 얻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 당내 회의에서 일어난 폭력사태가 의사당에서 재연되지 않는다는 확신이 없는데 국민들이 다시 표를 줄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강기갑 위원장의 비대위가 어떤 혁신책을 내놓을지 알 수 없지만, 필요하면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는 집단에 대해 출당이라는 극약처방이라도 내려야 한다. 부정 경선 관련자를 엄벌하고 폭력사태 책임자를 당에서 퇴출시켜야 한다. 비대위가 미온적인 수습책을 내놓는다면 진보 세력 전체가 공멸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