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담] MB, 日‘위안부 무성의’ 간접질타… 원자바오와 FTA협상 진척 논의
입력 2012-05-13 21:53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일, 한·중 양자회담은 주로 경제 문제에 집중한 제5차 한·중·일 정상회의와 달리 민감한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먼저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와 회담을 가진 이명박 대통령은 “과거사 문제들로 양국 관계가 경색되는 어려움도 있으나 역사를 직시하는 바탕 위에서 지혜를 모아나갈 때 양국 관계가 굳건해질 수 있으며, 양국뿐 아니라 동북아 전체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 언급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무성의한 일본 측 자세를 간접 질타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일 양자회담 일정이 전날 밤늦게까지도 확정되지 않다가 이날 오전 급하게 이뤄진 것도 일본 측 태도에 대한 일종의 ‘경고’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조기 체결 등 경제 현안 추진이 급한 일본 측 정상회담 요청에 마지못해 응해준다는 메시지를 던졌다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언론과의 접촉에서 “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정치적 결단을 요구한 만큼 이제 일본 측이 성의 있는 대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더 다루기보다는 일본의 구체적인 행동을 지켜보겠다는 의미다.
양국 정상은 북한 문제에 대한 협력과 문화 및 인적 교류 활성화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두 정상은 북한이 핵실험 등 추가도발을 할 경우 유엔 안보리와 국제사회의 엄중한 대응을 통해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앞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이 공감한 북한 문제에 대한 입장보다 훨씬 톤이 강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어 열린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의 양자 회담에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김태효 청와대 대외전략기획관은 브리핑에서 “양국 FTA는 협상이 개시됐다”면서 “일부 민감한 농산품 및 중소기업 제품을 제외하는 등의 보호 장치를 마련해 수준 높은 FTA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북한 해법에 대해선 ’도발 억제‘에는 공감하면서도 미묘한 온도 차이를 보였다. 원 총리가 “대화가 필요하다”는 논리를 편 반면, 이 대통령은 좀 더 강한 대응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열린 3국 정상회의에서도 이 대통령이 “보다 효과적인 도발억제 방안을 강구해야 할 때가 됐다”고 했고, 원 총리는 “올바른 대화 협상 궤도에 (북한이) 복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