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야권연대 실익 없다”… 파기 목소리 커져
입력 2012-05-13 19:00
민주통합당 박용진 대변인은 13일 통합진보당 폭력사태에 대해 논평하면서 “현재로서는 통합진보당의 자정과 쇄신을 전제로 연말 정권교체를 위한 야권연대를 지속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그러나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박 대변인은 “폭력사태는 매우 충격적이고 참담한 일”이라고 말했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도 기자간담회에서 “야권연대는 국민의 마음을 얻자는 것이고 그렇게 해서 정권교체를 하자는 것”이라며 “과연 이런 상태로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까 우려를 갖는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기자들이 야권연대 파기 가능성을 따져 묻자 “당내에 여러 가지 의견들이 있다”고 했다.
박 위원장이 언급한 것처럼 민주당 안에는 어떻게 해서라도 통합진보당과 대선연대를 이뤄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치부가 드러난 세력과 차제에 선을 긋는 게 낫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전자는 진보·민주 세력이 총결집하지 않고서는 대선에서 승리하기 어렵다는 논리를 편다. 4·11 총선 정당지지율이 새누리당 42.8%, 민주당 36.45%란 점을 감안하면 민주당 단독으로 새누리당을 이기기엔 역부족이란 것이다. 무려 10.30%의 지지율을 기록한 통합진보당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으로, 당장 연대파기를 선언하는 건 성급하다는 주장이다.
후자는 통합진보당과의 연대가 모양은 그럴듯하지만 실익이 없다는 논리다. 통합진보당이 총선에선 10% 이상의 지지를 받았지만 대선에선 그런 지지를 받지 못할 것으로 본다. 2007년 대선 때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는 3% 득표에 그쳤다. 또 대선연대로 당의 노선이 통합진보당 쪽으로 기울 경우 중도층이 이탈할 것이기 때문에 결코 도움이 안 된다는 의견이다.
당내 중도노선을 걷고 있는 김영환 의원은 “우리는 애당초 하나가 될 수도, 되어서도 안 되는 존재였다”며 “이제 민주당의 정체성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한·미동맹 등 당의 정책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연대할 경우 득보다 실이 더 크다고 주장한다. 어떻든 통합진보당의 추태가 계속될 경우 야권연대 파기 목소리가 더 힘을 얻을 건 분명해 보인다.
새누리당은 은근히 즐기는 분위기다. 이상일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통합진보당에 욕설, 폭행, 멱살잡이가 난무하는 막장 드라마가 연출되고 있다”며 “더 이상 국민에게 추한 꼴 보이지 말고 자진 해체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