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고 서민들… 대부업체 대출 51% 먹고 사는데 썼다

입력 2012-05-10 18:31


경기부진으로 가계 상황이 악화되면서 지난해 생활비 충당을 위해 대부업체에서 대출받은 비중이 통계작성 이래 처음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해 말 저신용층의 대부업체 대출비중은 6개월전보다 급증해 신용 위기가 우려되고 있다. 대부업 성장세가 뚝 떨어지면서 불법 사금융시장 확대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대부업체 대출 절반 이상이 생활비 마련용=금융감독원이 10일 공개한 대부업체 이용실태를 보면 지난해 하반기 유럽재정위기와 국내 경기침체가 서민들의 생활고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체 69곳의 신규대출액 현황을 보면 대출목적 중 생활비 충당이 지난해 6월말 41.4%에서 12월말 50.9%로 크게 뛰었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 대부업체에서 고금리로 돈을 빌리는 사람 2명 중 1명은 생활비를 마련하려는 목적이었던 것이다. 생활비 비중은 대출목적별 이용실태가 처음 나온 2009년 하반기 33.5%에서 2010년 상반기 43.6%로 뛰다가 하반기 43.3%, 지난해 상반기 41.4%로 꾸준히 낮아졌다.

회사원들의 대부업체 이용비중도 높아져 2010년 하반기 56.8%에서 지난해 하반기 63.8%로 7% 포인트나 올랐다. 샐러리맨들이 가계가 어려워지면서 대부업체에서 급전을 필요로 한 사례가 많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신용상태가 좋지 않은 저신용자들의 대부업체 이용이 하반기 들어 급증한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고신용층(1∼6등급)의 대부업체 이용 비중이 42.4%, 7등급 이하 저신용층의 대출 비중이 52.0%로 격차가 10% 포인트가 채 안됐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서 고신용층의 대출비중이 31.2%로 줄어든 데 비해 저신용층은 65.6%로 급증, 격차가 2배 이상으로 늘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대부업체 대출 중 생활비 비중과 저신용자의 이용이 늘었다는 것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유럽위기와 고물가, 소득증가 둔화 등 경기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부업체 성장세 급속 둔화로 불법 기승 우려=서민들의 이용 급증과 달리 대부업의 성장세는 크게 둔화됐다. 등록 대부업체 수는 지난해 하반기 8762곳으로 전년 동기대비 1223곳이 줄었다. 전년 동월 대비 대부잔액 증가율은 2010년 12월 11.2%, 2011년 6월 말 14.1%로 뛰었다가 2011년 12월 말에는 0.9%로 급락했다.

실물경기 둔화, 대형 대부업체 영업정지, 대부업 최고금리 인하(지난해 6월 44%에서 39%로 인하) 탓에 등록 대부업체의 영업환경이 악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대부시장의 영업환경 악화는 불법 사금융시장 확대, 대부업체 추심 강화 등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보고 서민금융지원제도의 적극 활용을 권장하는 한편 불법 사금융에 대한 지속적인 단속·관리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