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해체 위기] “같은 주민뒷번호 다수… 투표율 100% 넘긴 곳, 이석기에 몰표”

입력 2012-05-10 18:42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경선에서 부정선거가 광범위하게 조직적으로 저질러졌다는 증거가 추가로 공개됐다. 부정선거가 자행됐다는 당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뒷받침하는 증언도 잇따라 터져 나오고 있다.

◇똑같은 주민등록번호 수두룩=비례대표 경선 진상조사위원장인 조준호 공동대표는 10일 부정선거를 뒷받침하는 30건의 주민등록번호 도용 및 조작사례를 추가로 언론에 공개했다.

조 위원장은 “온라인 투표에서 이름이 다른 이모씨 등 3명과 최모씨 등 2명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15362**’(뒷자리 2개는 비공개)로 같았고 김모씨 등 3명은 ‘21680**’로 주민번호 뒷자리가 같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름은 다 다른데 주민번호 뒷자리 2∼3개가 같거나 123, 124, 125처럼 일련번호로 돼 있는 사례도 있었다”며 “특히 서모씨는 주민번호 뒷자리가 2000000으로 기록돼 있었다”고 털어놨다.

조 위원장은 중복 IP 투표와 관련, “중복 IP에 대한 공방이 수량의 문제나 동일한 사무실에서 투표한 것이라는 수준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이렇게 특이한 유형의 사례는 이해가 안 된다”며 “부정이 명백하며 결국 둘 중 한 명, 셋 중 두 명은 유령당원”이라고 설명했다.

조 위원장은 중복 IP 투표가 당권파 핵심으로 지목되고 있는 이석기 당선자보다 다른 후보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는 당권파의 지적과 관련, “다른 후보들이 50∼60%가량을 얻는 시점에 유독 한 후보가 73%를 득표했다”며 “그 시점이 바로 ‘소스코드’를 열고 들어간 때”라고 주장했다.

진상조사위의 한 관계자도 “전국 8개 투표소의 현장투표 수와 온라인투표 수를 합산했을 때 총 투표율이 100%가 넘는 선거구가 적어도 2군데 이상 있었다”며 “특히 100% 넘는 투표소의 경우 득표가 비례대표 2번 이석기 당선자에게 압도적으로 몰린 것으로 알려져 ‘조직적인 부정선거’라는 의혹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증언했다. 다른 당 관계자는 “100%를 넘겼다는 것은 명부가 잘못됐거나 아니면 누군가 표를 무더기로 집어넣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조사위는 결단코 어떤 부류의 유불리에 따라 조사하지 않았다. 당이 선거를 관리하는 데 있어 총체적 부정과 부실이 있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리투표 성행=김재연 당선자의 청년 비례대표 경선에서도 부정이 저질러졌다는 증언이 나왔다. 한 청년 당원은 언론과의 접촉에서 “청년 비례대표 선거기간 김 당선자와 학생운동을 같이했던 친구로부터 주민등록번호를 불러 달라는 전화를 받은 뒤 홈페이지에 접촉해보니 이미 정보수정이 끝나 투표를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친구는 투표 상황을 들여다보고 있다가 지지자에게만 연락해서 정보수정까지 대행해주고 김 당선자를 찍어 달라고 했다는 것이다.

민노당 청소년위원회 출신인 이계덕씨도 “청년비례 선출위원회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하던 후배가 선거인단 등록현황을 실시간으로 알고 있었다”며 “이 후배는 김재연 당선자를 찍어 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김을래(47) 전 지부장은 언론과의 접촉에서 “통합진보당에서 벌어진 대리투표는 과거 민주노동당 시절부터 관행처럼 존재했다”며 “이번에는 대리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다른 동료 당원들은 대리투표에 참여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시·도당 간부들이 전화를 해서 누구를 찍어 달라고 하거가 아니면 대신 투표해 줄 테니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받은 온라인투표용 인증번호를 알려 달라고 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이전에도 대리투표를 할 수 있도록 인증번호를 알려준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