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없고 관리 불편”… 정부 기관도 꺼리는 ‘저공해車’

입력 2012-05-09 19:06


정부의 저공해자동차 확대정책이 겉돌고 있다. 지난해 서울·경기지역 행정·공공기관 중 저공해차 의무 구매율을 지킨 기관은 전체의 4분의 1가량인 26.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수도권대기환경청의 수도권 행정·공공기관 저공해차 구매 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를 구입한 189곳 중 의무비율 30%를 달성한 기관은 50곳(26.3%)에 그쳤다. 이들 기관의 신규 구매 차량의 19.8%인 640대만 저공해차였다.

지난해 자동차를 5대 이상 구입한 기관 중 저공해차를 1대도 구입하지 않은 기관은 경기도 하남시청, 서울 성북구청, 의정부시 시설관리공단 등 25곳이나 됐다.

특히 경기도교육청, 경기도 양주시청,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한국철도공사, 한국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 등 6곳은 지난해뿐 아니라 2010년에도 저공해차 구매실적이 없었다. 수도권대기환경청 관계자는 “충전소가 부족하고 출력문제 등 관리가 불편한 데다 저공해차 종류가 부족해 구매를 꺼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올해 저공해차 구매계획을 미리 조사해 구매비율을 지키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또 자동차 제작·수입사의 수도권 지역 내 저공해차 보급 의무비율도 7.5%에서 8.5%로 상향조정할 계획이다.

‘행정·공공기관 저공해자동차 구매의무제도’에 따르면 대기관리권역(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24개시)에 속하는 행정·공공기관은 매년 새로 구입하는 자동차의 30% 이상을 의무적으로 저공해차로 구매해야 한다. 그러나 처벌규정은 없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