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해체 위기] 막가는 당권파, 주먹으로 비당권파 ‘黨수습안’ 막나

입력 2012-05-08 18:47

통합진보당 내 당권파와 비당권파 간 대결은 오는 10일 전국운영위원회와 12일 중앙위원회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비당권파는 두 차례 회의를 통해 사태 수습안(지도부 총사퇴 및 비상대책위원회 구성과 총선 비례대표 당선자 및 후보 전원 사퇴)을 관철시킨다는 계획이다. 당권파는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이를 저지한다는 방침이어서 전운이 감돌고 있다. 폭력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권파는 전국운영위가 지난 5일 의결한 수습안 수용을 거부한 채 8일 이정희 공동대표 주도로 진상조사위 조사결과에 대한 공청회를 강행했다. 수습안이 운영위 의결의 산물이긴 하지만 비당권파의 의견일 뿐이란 점을 홍보하기 위한 정치적 제스처다. 비당권파는 오불관언하는 당권파에 맞서 수습안을 통과시킬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이는 두 회의체의 세력 분포에서 비당권파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통합진보당의 지난해 12월 창당 때 세력 분포는 민주노동당 지분인 당권파가 55%, 비당권파가 45%(국민참여당 30%, 진보신당 탈당파 15%)였다. 하지만 이번 파문을 겪으면서 당권파에 속했던 인천연합과 울산연합이 등을 돌려 비당권파에 합류했다. 이에 따라 당권파는 주축인 경기동부연합과 광주전남연합뿐이며 이는 통합진보당 전체의 40% 정도밖에 안 된다.

이런 상황에서 운영위가 열릴 경우 분위기가 격앙될 가능성이 높다. 우선 핵심 안건이 ‘진상조사보고서 결과에 따른 후속처리 및 대책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 건’으로 애매하게 돼 있어 특별위원회 성격을 두고 의견이 대립될 것으로 보인다. 당권파는 이 특위를 진상조사위 조사결과를 뒤집고 재조사하는 기구로 해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비당권파의 경우 보다 상세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재확인하고 책임자 징계 쪽에 무게를 둔 기구로 규정할 것이기 때문에 격렬한 논쟁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원명부 정리를 위한 전수조사 실시’도 주요 안건으로 잡혀 있어 이 또한 첨예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권파인 이석기 국회의원 당선자가 비례대표 사퇴문제를 당원 총투표로 결정하자고 제의한 상태여서 양측이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결국 세력 우위를 점하고 있는 비당권파가 수습안 쪽으로 의제를 돌려 재의결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당권파가 몸싸움을 불사하며 저지에 나설 것은 불문가지다. 설령 비당권파가 뜻을 관철한다 해도 이틀 뒤 중앙위가 남아 있다. 중앙위의 경우 비당권파인 심상정 공동대표가 사회를 맡을 예정이어서 당권파로서는 물리력을 동원해 저지하려 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통합진보당 주변에선 두 차례 회의가 폭력으로 얼룩질 가능성을 걱정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진보성향 인사들이 1987년 폭력사태가 벌어졌던 통일민주당의 ‘용팔이 사건’을 입에 올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