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노래주점 화재 참사] 안이한 대처·형식적 소방점검… 다중이용업소, 고질적 참사 되풀이

입력 2012-05-06 18:51

부산 부전동에서 5일 밤 발생한 노래주점 화재참사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 불감증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화재참사 때마다 문제가 된 종업원들의 안이한 초기대처와 밀폐된 내부구조, 부실한 소방시설 관리 등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었다.

상당수 노래주점들은 영세한 사업장 규모를 핑계로 화재발생에 대비한 조명시설이나 소방시설 등을 형식적으로 갖추는 데 그치고 있다. 소방당국의 안전점검 부실도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다.

이번에 불이 난 부산의 노래주점이 있는 6층짜리 건물 역시 지난해 8월 소방점검 때 전원장치 불량이 적발돼 보완명령을 받았다. 하지만 이후 낡은 전기장치의 교체에 소홀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방음재가 타면서 생긴 유독가스도 제대로 배출되지 않았다. 2009년 1월 부산 영도 남항동 지하노래주점에서 불이 나 8명이 숨졌을 때도 유독가스가 빠지지 않아 화를 키웠다.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 소방시설의 부실관리도 ‘판박이’처럼 빼닮았다.

2008년 1월 2명이 질식사한 대구 복현동 노래주점 화재사고의 원인이 된 종업원들의 초기 진화작업 실패도 이번 화재에서 반복됐다. 최근 손해보험업계의 통계에 따르면 1990∼2010년 이 같은 다중이용 시설에서 10명 이상이 사망한 대형 화재참사가 해마다 1건 이상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에는 총 8건, 2000년대 들어서는 12건으로 화재참사가 해를 거르지 않고 발생했다. 화재장소도 찜질방, 산후조리원, 사격장, 오락실 등으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조명이 어둡고 음악 소리가 시끄러운 노래주점의 경우 복잡한 내부구조 등으로 단시간에 많은 인명피해가 나는 고질적 원인과 결과를 되풀이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장소다. 노래주점에 오기 전 회식 등에서 술을 마신 손님들이 화재발생 사실을 신속히 알지 못해 대피가 늦은 점, 어두컴컴한 조명 속에 폭 1m도 되지 않는 출구를 찾기 힘든 점 등이 원인이다. 이런 화재원인들은 분명한데 유사한 참사가 끊이지 않는 것은 건물주와 업주, 소방당국이 화재예방에 손을 놓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기환 소방방재청장은 6일 “대형 화재참사를 막기 위해서는 업주 등이 종업원들에 대한 철저한 안전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불이 났을 경우 초기에 진압이 가능한 소방기구 작동법도 평소 익혀둬야 한다”고 말했다.

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