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경선 비리] 통합진보당 어디로… 도덕성 ‘와르르’ 다시 쪼개지나
입력 2012-05-02 18:34
통합진보당이 패닉 상태다.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를 뽑는 당내 경선에서 부정이 횡행했던 것으로 확인돼 진보정당으로서의 도덕성에 치명상을 입었기 때문이다. 19대 총선에서 13석이나 얻어 원내 제3당이 된 진보당은 6월 초 당을 정비한 뒤 12월 대선에서 후보를 낼 계획이었으나 이 모든 것이 불투명해졌다. 당의 존립마저 위태로운 지경이다.
진보당은 지난해 12월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가 모여 창당됐다. 당원 분포로만 보면 민주노동당 출신이 65%, 국민참여당 30%, 진보신당 5% 정도다. 이정희 공동대표는 민주노동당, 유시민 공동대표는 국민참여당, 심상정 공동대표는 진보신당 출신이다. 공동대표제이긴 하지만 지분이 많은 민노당 출신들이 당권파로 불리며 총선 공천 등을 주도해왔다.
진보당은 부정 경선이 사실로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습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권력관계가 복잡해서다. 당권 향방 및 대선후보 선출과 직결돼 있다는 얘기다.
국민참여당과 진보신당 출신 등 비당권파는 당권파 핵심인 이정희 공동대표의 즉각적인 사퇴와 비례대표 경선 선거관리위원장이었던 김승교 변호사의 정계은퇴를 요구하고 있다. 또 비례대표 1, 2, 3번 후보였던 윤금순 이석기 김재연 당선자의 사퇴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진보당은 총선에서 6명의 비례대표를 당선시켰으며 이석기 김재연 당선자는 당권파에 속한다. 4∼6번은 영입 케이스여서 부정 경선과는 무관하다고 볼 수 있다.
경선 부정 의혹을 처음 제기했던 이청호 부산 금정구 의원도 “비례대표 당선자 3인의 사퇴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권파는 비례대표 당선자 3인이 사퇴하지 않는 대신 이정희 공동대표가 당 대표경선에 출마하지 않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동대표들은 2일 저녁 수습책을 협의했으나 입장차를 좁히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금명간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4일로 예정된 전국운영위원회에서 계파 간 격론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갈등이 심화될 경우 분당(分黨)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거기다 이청호 구의원을 비롯한 당내 인사나 시민단체 등에서 검찰에 고발할 가능성이 있어 진보당의 앞날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형국이다.
한편 새누리당 이상일 대변인은 진보당 지도부 총사퇴, 비례대표 앞 순번 당선자 사퇴, 부정 경선에 대한 즉각적인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민주통합당도 “공당으로서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