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수사·줄도산 공포… 건설업계 후들
입력 2012-05-01 19:02
건설업계가 흉흉하다. 건설경기 침체 상황에서 각종 건설업계 입찰 비리에 대한 검찰 수사까지 하루가 멀다 하고 좋지 않은 소식들이 쏟아지고 있다.
도급순위 30위인 풍림산업은 최종 부도 위기에 직면했고 포스코건설은 서울 양재동 파이시티 인허가 로비의혹 수사의 불똥이 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1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 100대 건설사 중 현재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간 곳은 풍림산업 등 15곳이다. 모두 건설·부동산 경기의 장기 침체로 심각한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풍림산업이 지난달 30일 만기가 돌아온 어음을 결제하지 못해 1차 부도를 냈다. 풍림산업은 2일 오후 3시까지 437억원에 이르는 기업어음(CP)을 갚지 못하면 최종적으로 부도 기업으로 지정,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된다.
풍림산업 소식에 다른 건설사들은 줄도산을 우려하고 있다. 현재 우림건설은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 채권은행의 추가 도움 없이는 자체 회생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그러나 최근 우리은행에서 3차 신규자금 지원안을 부결하면서 회생 계획이 쉽지 않은 상태다.
일부에선 이 기회에 건설업체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힘이 실리지는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산업의 근간이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검찰이 건설업계를 향해 날을 세우고 있는 것도 건설업계로서는 큰 부담이다. 현재 파이시티 로비 의혹과 함께 한국환경공단에서 발주한 경기 하남시 환경시설공사 입찰비리, 광주 하수종말처리장 총인(總燐) 처리시설 입찰 비리, 강원 태백시 오투리조트 공사 비리 등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하남시 환경시설공사 비리는 업체가 입찰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설계분과 심의위원들에게 설계평가를 잘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전방위 로비를 벌였고 광주 하수종말처리장 입찰 비리는 시공사로 선정된 업체가 입찰 심의·평가위원 등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업계에선 검찰 수사가 건설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소문까지 돌고 있다.
현 정부 임기말을 맞아 권력누수를 막기 위해 사정이 본격화될 경우 ‘파기만 하면 나오는’ 건설업계가 타깃이 될 것이란 얘기가 많다.
건설협회 강해성 실장은 “지난해도 안 좋았는데 올해는 더 안 좋다”면서 “불황으로 모든 건설업체들이 힘겨운 상황인데다 입찰 비리까지 터지면서 최악의 해를 보내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