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김기용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수원 살인사건·위장전입·초고속 승진 배경 등 추궁
입력 2012-05-01 18:48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열린 김기용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여야 의원들은 경기도 수원 여성 납치·살해 사건을 계기로 드러난 경찰의 무능과 김 후보자의 위장전입, 4년여 만에 4계급이나 초고속 승진한 배경 등을 집중 추궁했다.
김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위장전입은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서울청장 등을 지내지 않았고 수사부서 경험이 없어 조직 장악력과 지휘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3곳의 경찰서장과 지방청장을 하면서 현장밀착형 지휘관으로 충분한 경험을 쌓았다”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는 청문회가 진행되는 동안 “신상필벌을 통해 조직을 안정시키고 국민의 신뢰를 서둘러 회복하겠다”며 “경찰관이 충실한 직무교육을 받고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폭증하는 치안수요에 맞춰 인력을 늘리고 보수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 의원들은 가장 먼저 김 후보자의 2006년 위장전입을 따졌다. 새누리당 이군현 의원과 민주통합당 이석현 의원은 “2006년 1월 평창동 빌라에서 홍제동 아파트로 주소를 옮겼다가 한 달 뒤 평창동으로 다시 옮겼다”며 “경찰공무원에 관한 대통령령을 보면 경찰공무원은 법령을 준수해야 한다고 돼 있는데 이를 위반한 사람이 경찰의 수장이 되는 게 말이 되는가”라고 추궁했다.
김 후보자는 수원 여성 살인사건에 대한 추궁이 잇따르자 “112지령실 신고접수가 잘못 처리됐고, 출동 경찰관의 현장수색이 부실했다”며 “허위 보고자는 내부규정에 따라 문책하겠다”고 밝혔다.
초고속 승진한 이력에 대한 질타도 쏟아졌다. 새누리당 윤상일 의원은 “세무서에서 일하다 경찰청 본청 예산과장으로 옮기고, 그 후 서울청 보안부장에 이어 경무관으로 승진했다”며 “처세술에 능하다는 것을 느낀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공무원시험을 보고 세무서에 들어갔고 이후 서민 가까이에서 봉사하고 싶어 경찰에 지원했다”며 “총경으로 승진한 뒤 세무공무원 경험을 살려 예산업무를 맡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 최규성 의원은 “2008년 촛불집회가 5월 초부터 재연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때처럼 3m 근접거리에서 시위대를 향해 물대포를 직접 쏠 것이냐”며 “국가인권위원회도 폭력적 진압과 경찰의 인권침해를 인정했다”고 압박했다. 김 후보자는 “인권위가 그랬다면 적절한 지적일 것”이라며 “위급한 경우 각도를 낮춰 직격발사를 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고 맞섰다.
청문회가 진행되는 동안 일부 여야 의원은 김 후보자를 ‘경찰판 슈퍼스타 K’ ‘예상 밖의 구원투수’라고 지칭해 눈길을 끌었다.
장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