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룡들과 같이 안논다?… 박근혜, 언제 출마 선언할까

입력 2012-04-30 18:50

김문수 경기지사에 이어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까지 19대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정치권의 이목이 여당 ‘최대 주주’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언제 출사표를 던질지에 집중되고 있다. 친박 진영은 박 위원장의 대선 출마와 관련된 언급은 최대한 자제하는 분위기다. 4·11 총선 승리 후 대세론이 확실하게 자리 잡은 상황에서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박 위원장과 다른 잠룡(潛龍)들은 ‘체급’이 달라 섣부르게 움직이면 체면만 깎인다는 것이다.

박 위원장도 말을 아끼고 있다. 그는 지난 23일 강원도 평창을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에게 “아직 당이 새 지도부가 꾸려져 정상화 되지도 않았고 비대위 체제에 있다. 지금 이야기하는 것은 혼란만 줄 뿐이기 때문에 당이 정상화된 뒤에 두고 볼 일”이라고 말했다. 박 위원장이 말하는 정상화는 일단 5월 15일 치러지는 전당대회를 지칭한다. 새로운 지도부 선출로 현재의 비대위 체제가 종료된 다음에 출마 선언을 하겠다는 얘기다.

시간적으로 박 위원장이 공식 출마 세리머니에서 내놓을 대국민 메시지 준비 작업도 충분치 않아 보인다. 총선 이후 지금까지 김형태·문대성 당선자 논란과 친박근혜계 내홍 등에 신경을 쓰느라 여유가 없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 일각에는 박 위원장의 잇따른 지역 ‘총선공약실천본부’ 발대식 참석이 사실상의 대선 행보라며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다.

친박계 관계자는 30일 “그건 박 위원장의 성격을 잘 몰라서는 하는 오해”라며 “우리가 뭐가 부족해서 그런 꼼수를 쓰겠는가”라고 했다. 비대위원장으로 당이 내건 총선 공약을 점검하기 위한 자리일 뿐 대선과는 상관이 없다는 반박이다.

하지만 친박 내부에서는 이미 출마를 선언한 비박(非朴·비박근혜) 진영 후보들이 갈수록 박 위원장에 대한 공세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본격 대응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의견이 늘고 있다. ‘1인 사당화’ ‘당내 민주주의 실종’ 등 자극적인 용어들이 박 위원장에게 덧칠해지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