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촛불 겨냥한 광우병 괴담 경계해야

입력 2012-04-30 18:03

정부는 6년 만에 광우병이 발생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 “국민 건강이 최우선”이라는 기조 속에 신중함을 유지하고 있다. 발병 사실이 중요하지만 과학적으로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광우병이 확인된 소는 10년7개월이나 된 초고령인데다 젖소라는 사실을 들어 30개월 이내 쇠고기에서 위험부위를 뗀 채 들여오는 미국산 수입 쇠고기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국민들이 불안감을 나타내자 정부는 검역비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 기존의 3%에서 50%까지 올린 데 이어 검역시설과 인력사정을 봐가며 전수조사까지 검토하고 있다. 어제 오전 관계공무원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조사단을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로 보낸 것도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괴담을 확산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어 우려스럽다. 통합진보당의 한 지역위원장은 “광우병 발병소는 수출용에서 나왔다. 미국의 유의미한 수출대상국은 한국인데…”라는 상식에 어긋나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인도네시아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중단했다는 글도 마찬가지다. 우리와 달리 뼈 있는 쇠고기와 내장 등을 수입해 오다 이번에 중단했다는 사실이 와전된 것이다.

이들 세력은 2008년 촛불의 향수를 떠올리며 대규모 반정부 시위의 불을 지피려 민심을 자극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임기 말이라는 취약성과 반미운동을 결합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광우병위험감시국민행동 및 한미FTA저지범국민운동본부라는 단체는 “국민의 저항” 운운하며 벌써부터 촛불시위를 예고했다.

따라서 정부의 대응도 좀 더 기민할 필요가 있다. 안전성 타령을 하고 국제관행만 내세울 것이 아니라 광우병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공개해 불신의 싹을 잘라야 한다. 문제의 ‘광우병 발생시 수입중단’ 광고에 대해서도 국회의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과정을 설명해 정부가 국민을 속이지 않았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괴담은 정보의 공백이 생길 때 위력을 발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