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경영이 미래다-한국전력공사]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총력

입력 2012-04-29 19:41


한국전력공사는 그린 에너지 강국을 위한 선결과제로 전기요금 현실화를 꼽았다.

우리 정부는 ‘녹색성장’을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설정해 2008년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발표하고 ‘신재생에너지발전전략’ 등 세부 액션플랜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발전차액지원제, 의무할당제, 탄소세, 그리고 배출권 거래제, RPS(신재생 에너지 의무공급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1.3%로 선진국에 비해서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한전은 원자력 및 화석에너지를 대신할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발전비용의 상승을 수반하며 이는 전기요금 인상이 수반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비용부담이 없는 녹색성장은 허구이자 기만행위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한전은 원가의 90%이하의 낮은 전기요금으로 4년간 누적 적자는 8.5조원을 넘어 이산화탄소 감축, 스마트그리드 구축, 신재생에너지 보급 같은 녹색성장 사업에 대한 투자는 물론 안정적인 전력공급 마저 어렵게 돼 국가에너지 안보에 큰 위협 요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숙철 한전 신재생 실장은 “앞으로 전기는 수요과 공급에 따라 실시간으로 요금이 변하게 된다”면서 “전기요금이 싸거나 가정용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이 남을 때 충전해서 비쌀 때 되파는 스마트한 생활습관이 자연스럽게 자리잡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