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재건마을 주민들 ‘임대주택 보장’ 개발계획 반발… “토지변상금 25억 해소가 선결과제”
입력 2012-04-27 18:56
서울 강남구 판자촌 ‘재건마을’ 주민들이 서울시의 개발계획에 반발하고 나섰다.
포이동 재건마을 비상대책위원회는 27일 오후 2시부터 1시간30분 동안 서울시 서소문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재건마을 개발계획의 재검토를 요구했다.
주민들은 “서울시의 이번 개발계획은 주민들과의 협의나 적극적인 실태조사, 대안 등이 없다”며 “과거 강제이주 계획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특히 강남구가 현재 자신들에게 부과하고 있는 불법점유 변상금 문제를 성토했다.
강남구는 재건마을 주민들이 토지를 불법점유하고 있다고 간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 108명에게 1990∼2010년 부과된 토지변상금은 25억여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은 국민임대주택을 얻어 이주한다고 해도 다시 집을 압류당하고 거리로 내몰리는 상황을 피할 수 없다고 호소했다.
또 시가 제시한 거주민 주거대책은 SH공사 보유 잔여 임대아파트를 제공한 뒤 개발사업이 끝나면 재건마을로 재입주하는 방식이다. 비대위 측은 잔여 임대아파트들이 흩어져 있어 재입주 때 제2의 강제이주가 될 것으로 우려했다.
송희수(64) 비상대책위원장은 “서울시가 개발에만 신경을 쓰는 강남구 측 얘기만 듣고 개발계획을 결정한 것”이라면서 “서울시가 임대주택에 주민들을 재정착하게 해준다지만 임대주택 보증금도 낼 여력이 없는 주민들에게는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측은 시·구·SH공사가 별도 팀을 구성해 개발에 따른 각종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 23일 SH공사 주도로 재건마을 용지에 장기전세 234가구와 국민임대 82가구를 지어 현재 거주민 82가구 170여명 모두를 임대주택에 재정착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고 발표했다.
김용백 기자 yb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