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시중·박영준 금품수수 수사] 중앙지검, 이제와서 뒷북수사 법석
입력 2012-04-26 19:14
검찰이 국무총리실의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의 자택과 사무실을 뒤늦게 압수수색한 것에 대해 뒷북치기라는 지적이 나왔다.
박 전 차관은 검찰이 재수사에 착수한 초기부터 이 사건의 몸통으로 의심받았다. 하지만 서울중앙지검은 그동안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가 대검 중수부가 압수수색에 나서자 편승하듯 뒤늦게 증거확보에 나서 비판이 일고 있다. 일부 압수수색 장소에 수사관이 들이닥쳤을 때 자료들이 대부분 치워져 있어 박 전 차관이 증거를 인멸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박 전 차관은 2010년 1차 수사 당시 이인규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에게 실형이 선고된 직후 최종석(42·구속기소)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에게 전화를 걸어 증거인멸 문제를 논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부장검사)은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 최 전 행정관, 진경락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 등 3명을 구속했다. 하지만 청와대 윗선이나 비선라인 등 ‘몸통’을 캐지 못하고 있다. 박 전 차관의 개입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몸통’ 수사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특별수사팀은 류충렬(56)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 이인규(56)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 총리실 기획총괄과장 정모씨 등 관련자 3명을 26일 소환, 조사했다. 류 전 관리관은 이번 사건을 폭로한 장진수(39)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관봉’ 형태로 5000만원을 건넨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5000만원에 대해 총리실 직원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은 돈이라고 주장했다가 ‘관봉’ 사진이 공개되자 지인이 마련해준 돈이라고 말을 바꿨고 다시 “장인이 자금을 마련해줬다”고 진술했다. 검찰은 류 전 관리관의 주장이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 계좌추적 등을 병행했으나 5000만원의 출처와 전달 경로 추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0년 1차 수사 당시 불법사찰 혐의로 기소된 이 전 지원관은 김종익 전 KB한마음 대표를 사찰하도록 지시한 인물이다. 정 과장은 총리실 특수활동비를 빼돌려 청와대에 상납한 혐의로 구속된 진경락(45) 전 기획총괄과장의 후임자다. 2010년 1차 수사 때 증거인멸 혐의로 기소된 장 전 주무관은 “정 과장에게 내 문제가 VIP(대통령)한테 보고가 됐다고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