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朴측 “최시중, 그 돈 갖고 경선 조작한 거 아니냐”… ‘MB와 단절 기회’로 적극 대응 움직임

입력 2012-04-24 21:58


새누리당 친박근혜계가 ‘최시중 악재’에 대한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최 전 위원장으로 대표되는 ‘MB(이명박) 정권 실세’들과 철저하게 단절하자는 목소리가 커지는가 하면, 2007년 당 대선 후보 경선 자체가 조작됐을 가능성까지 거론하는 분위기다.

친박계 핵심 인사는 24일 언론과의 접촉에서 파이시티 대표로부터 거액을 받았다고 한 최 전 위원장 발언을 거론하며 “그 돈 갖고 경선 결과를 조작하는 데 쓴 거 아니냐”고 날을 세웠다.

이 인사는 “최 전 위원장이 (대선) 경선 1년 전부터 여론조사 방식을 빌려 치밀하게 여론조작을 해왔다고 실토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런 공로로 MB 집권 후 친이명박계 좌장 취급을 받으며 방통위원장에 임명됐을 것”이라고도 했다.

다른 친박계 의원도 “당시 증거를 찾지 못했을 뿐이지 최 전 위원장이 여론조사 전략을 전담하며 MB의 경선 승리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는 설이 정치권에 파다했다”면서 “야당보다 우리가 더 흥분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006년 6월 서울시장직 퇴임 후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각종 여론조사에서 팽팽한 접전 양상이었으나 그해 10월 북한의 핵실험을 계기로 지지율 격차를 두 자릿수로 벌렸다. 이듬해 8월 경선 때는 박 위원장에게 당원 및 현장투표에서 지고도 압도적인 여론조사 지지율 차이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선 후보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박근혜 캠프에서는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의 회장이던 최 전 위원장에게 의혹을 갖고 있었으나 물증을 찾지 못했다. 최 전 위원장은 그해 5월 한국갤럽 회장 직을 물러났으며 7월 말 이명박 캠프 선대위 상임고문으로 위촉됐다. 박근혜 캠프 공보특보를 맡았던 구상찬 의원은 당시 논평을 통해 “그동안 국민들이 유독 박 후보의 지지율에 인색한 평가를 해 온 한국갤럽의 여론조사를 왜 믿지 않았는지 그 이유를 알겠다”면서 “한국갤럽 최고위 인사가 특정 후보와 긴밀히 결탁했다는 게 정치권의 뜬소문이 아니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4·11 총선 이후 친박계 중심으로 재편된 새누리당에서는 이번 사건을 이명박 정부와 관계 단절을 하는 분수령으로 여기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한 친박계 의원은 “이번 일이 우리와 무관하다는 점을 일반 국민도 잘 안다”면서 “최 전 위원장 사건은 오히려 박 위원장이 MB 정부와의 단절을 앞당길 수 있는 기회”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박 위원장이 강원지역 민심 투어에서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모든 것을 처리해야 된다고 본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맥락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엄정한 검찰 수사’ 원칙론을 내세우면서 차제에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에 허덕일 현 정부와의 끈을 끊어내자는 의도라는 해석이다. 총선 전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에 이어 연이어 당에 악재만 제공하는 현 정부에 불만을 터뜨리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