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대선경선 3대 관전 포인트… 박 對 비박 대립 속 “국민정서 고려” 당내 여론도 다수

입력 2012-04-24 18:43

(1)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될까

(2) 朴대세론 VS 수도권 후보론

(3) 비박 후보단일화 가능할까


새누리당 대선 경선 레이스가 사실상 시작됐다.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몽준 전 대표, 친이계 좌장 이재오 의원 등 당내 3인방이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카드를 고리로 비박(非朴·비박근혜) 연대를 구축하고 있다. 박근혜 대세론과 아직은 느슨하지만 비박 연대가 곳곳에서 부딪힐 전망이다. 초반 3대 관전 포인트를 짚어본다.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논란=당을 완전 장악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맞서자면 비박 연대로서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들고 나올 수밖에 없다. ‘2:3:3:2’(대의원:책임당원:일반국민:여론조사) 비율로 경선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현재 방식으로는 거의 승산이 없기 때문이다. 완전국민경선제는 당 밖의 잠룡으로 거론되는 정운찬 전 국무총리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박 위원장은 23일 기자들을 만나 “선수가 경기 룰에 맞춰서 하는 것이지, 매번 선수에게 룰을 맞춰서 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한마디로 잘랐다. 하지만 김성태 의원도 24일 경선 룰과 관련해 “국민들의 정서에 맞게 고민하고 그 목소리들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동조하는 의원들도 다수로 알려져 있다.

◇박근혜 대세론 vs 수도권 후보론=비박 연대가 완전국민경선제를 내세우는 이유 중 하나는 수도권 민심을 반영해보자는 것이다. 수도권 표심은 아무래도 대선에서 승부를 가를 수 있다. 이번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수도권에서 패배했다. 호남 지역을 제외하고는 박 위원장이 그만큼 약한 곳이다.

그런 정서를 바탕으로 비박 연대는 수도권 후보론을 내세우고 있다. 새누리당 대선 후보로 영남표에 수도권표를 확보할 수 있다는 논리다. 수도권 후보가 20∼40대 청장년층의 시선을 더욱 끌 수 있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 당내 비박연대 3인방은 모두 수도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와 함께 과거 이회창 후보 시절 경험에서 보듯 막연한 대세론은 필패라는 경고도 하고 있다.

하지만 친박 진영은 수도권 후보론 주장에 전혀 개의치 않겠다는 태도다. 대신 지나친 대세론 확산이 결코 유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5월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가 출범하면 실무진 중심의 대선 캠프를 꾸릴 예정이다. 세 과시나 대세론 확산 등의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겠다는 뜻이다.

◇비박 후보 단일화=비박 3인방과 정 전 총리 등이 과연 후보 단일화를 이뤄낼지 관심이다. 개개인으로는 현실적으로 박 위원장을 꺾기가 불가능하다. 단일화를 이뤄내면 일정한 시너지 효과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성사되더라도 그 파괴력이 어느 정도일지는 예단할 수 없다.

이들은 일단 각자의 길을 걸어갈 것이나, 일정 시점에서 뜻이 맞으면 합치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많다. 정 전 총리도 독자행보 후 나중에 단일화 대열에 합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과정 자체를 정치 이벤트화해서 어느 정도 흥행에 성공할 수도 있다. 하지만 향후 정치구도를 바라보는 시각들이 달라 쉽게 합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김명호기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