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대권 레이스 시작] 박근혜, 튀지않는 민생탐방… ‘내실 행보’
입력 2012-04-22 19:57
김문수 경기지사의 22일 대선 출마 선언에 대한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반응은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측근들 사이에서는 예상했던 일로 ‘박근혜의 대선 플랜’에 큰 영향을 줄 사안은 아니라는 분위기가 전해졌다.
◇5월 15일 전후=박 위원장은 다음달 15일 치러지는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가 선출되는 대로 비대위원장에서 물러난다. 이때부터 박 위원장의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는 셈이다. 경선 캠프도 6월 전에는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매머드급이 아닌 실무형이 될 가능성이 크다. 친박계 관계자는 “‘박근혜 대세론’에 대한 당 안팎의 경계심이 큰 상황에서 굳이 캠프를 눈에 띄게 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여당 대선 후보로 공식 확정된 다음 당내·외 인사들을 모두 품을 수 있는 만큼 그 전에 과시용 캠프는 필요 없다는 논리다. 4·11 총선 선대위에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전·현직 의원들과 참모그룹이 캠프로 들어가 ‘조용하면서도 내실 있는’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최대 관심은 박 위원장의 행보다. 주변에서는 박 위원장이 당직을 그만두자마자 김 지사처럼 공식 출마를 선언하는 ‘세리머니’를 할 개연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 대신 자주 현장을 방문해 민심과 함께 호흡하는 모습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박 위원장은 총선 지지에 대한 대(對)국민 감사 인사 성격으로 23일 강원을 시작으로 25일 충청, 26일 경기·인천, 27일 부산·경남 지역을 방문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김문수·정몽준·이재오 트리오’의 비박(非朴)연대가 예상 밖 위력을 발휘할 경우 박 위원장이 다른 형태의 대처를 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경선 룰에서 이겨야 한다”=2007년 한나라당 경선에서 패배한 이후 오랫동안 친박 진영에서는 경선 룰 협상 때문에 졌다는 얘기가 많았다. 따라서 이번에 다른 잠룡들이 제기한 ‘완전국민경선제’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현재로선 높지 않다.
아울러 원칙을 강조하는 박 위원장의 성격상 게임을 앞두고 룰을 바꾸자는 요구는 ‘반칙’ 또는 ‘변칙’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당장 친박계 중진인 이한구 의원은 “정당정치의 기본은 당원이다. 완전국민경선제는 당원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반대했다. 그는 “후보 경선의 룰은 선거 한참 전에 합의가 돼야 하는데 느닷없이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뿐 아니라 경선 룰을 바꾸려면 합당한 논리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민선거인단 모집과정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나왔다. 다른 친박계 의원은 “민주당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보듯 동원경선, 돈 선거 등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친박계 내부에 경선시기(8월)를 늦추자는 의견은 있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출마 문제 등으로 인해 야권 대선주자 확정이 늦어질 수 있어 새누리당만 너무 일찍 뽑으면 흥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