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대권 레이스 시작] ‘오픈 프라이머리’는… 2002년 ‘노무현 후보’의 경선 대역전 발판
입력 2012-04-22 19:57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선출에 새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2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몽준 전 대표, 이재오 의원이 ‘박근혜 대세론’에 맞서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강력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투표자가 자기의 소속 정당을 밝히지 않고 투표할 수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는 대의원이나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그만큼 변수가 많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2년 실시된 새천년민주당 경선에서 16대 대선 후보로 선출된 것도 바로 국민경선 덕이 컸다. 국민경선이 도입되기 전 노 후보는 당내 조직이라고는 거의 없는 ‘군소 후보’로 지지율이 10%도 되지 않았다. 민주당 부동의 1위는 이인제 후보였다. 그러나 국민경선이 시작되면서 판세는 완전 뒤바뀌었다.
전국 16개 시도를 돌면서 당원(50%)과 국민(50%)이 직접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노 후보는 이인제 한화갑 정동영 등 쟁쟁한 후보들을 제쳤다. 경선이 끝난 4월 말 노 후보의 지지율은 당시 역대 대통령 후보 가운데 가장 높은 60%를 기록했다. 이 기세로 대선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해 18대 대통령 후보를 뽑기 위해서는 현행 경선 룰을 개정해야 한다. 새누리당은 대의원, 당원, 국민선거인단의 현장투표와 여론조사 비율을 ‘2:3:3:2’ 정했으며 여론조사 1표는 실제 5표로 환산하도록 하고 있다.
이 환산표 덕분에 이명박 대통령은 2007년 8월 20일 한나라당 전당대회에서 박근혜 후보를 누르고 대선 후보로 최종 선출됐다.
이 후보는 당시 대의원과 당원·국민선거인단 투표에서 박 후보에게 모두 패했음에도 여론조사에서 앞질러 승리했다. 표의 등가성 문제와 관련해 논란이 있었지만 박 후보는 승복했다. 당내 조직에서 밀리고 있는 김 지사 등이 오픈 프라이머리를 등에 업고 한판 뒤집기를 노리는 것도 이와 같은 ‘전례’가 있어서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