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만1696 VS 1만6000… ‘동해 병기’ 찬성·반대, 백악관 청원 서명자수
입력 2012-04-22 19:23
미국 교과서에 동해를 병기토록 하자는 백악관 청원 서명자 수가 7만명을 넘어섰다. 한-일 네티즌간 공방이 가열되면서 백악관 홈페이지가 20일(이하 현지시간) 한때 다운됐다.
미 버지니아 한인회가 백악관 홈페이지 청원코너인 ‘위 더 피플(We the People)’에 올린 ‘미국 교과서 동해표기로 바로잡기’ 서명자 수는 서명운동이 시작된 지 만 30일이 되는 21일 자정 현재 7만1696명으로 집계됐다.
백악관은 청원서 제출 후 30일간 2만5000명 이상이 서명하면 공식 입장을 밝혀야 한다. 버지니아 한인회 관계자는 “백악관에서 이 건을 공식 접수했다는 발표가 나오기 전까지 서명은 계속 할 수 있지만 일단 서명자 수가 공식 집계되는 기간은 만료됐다”고 말했다.
이 청원에 대응해 일본계 미국인이 지난 13일 제출한 동해 표기 반대 청원의 서명자 수는 1만6000명을 넘어섰다. 양국의 신경전으로 번진 서명운동에 네티즌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하면서 백악관 홈페이지는 20일 밤 늦게부터 3시간 이상 다운됐다.
8선의 미 연방 하원의원도 일본해 단독표기를 고치는 캠페인에 동참했다. 21일 한인유권자센터(KAVC)에 따르면 민주당 소속 빌 파스크렐(뉴저지) 의원은 최근 미국 지명위원회(USBGN)에 서한을 보내 “아시아 본토와 일본 사이에 있는 바다의 명칭을 재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23일 모나코에서 열리는 이번 국제수로기구(IHO)총회에서 한국은 IHO의 바다지도인 ‘해양과 바다의 경계’에 동해 병기(竝記)를 강력히 요구할 계획이다. 그러나 일본은 여전히 ‘일본해’로 단독표기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미국과 영국 역시 단일 표기 원칙을 주장하고 있어 우리 정부의 의지가 관철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IHO 회원국 상당수는 한·일 양자차원의 협의에서 명칭 문제를 해결하라는 입장이나 ‘해양과 바다의 경계’ 3판 발간 이후 50년이 넘도록 4차 개정판을 내지 못해 이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더라도 이번 총회에서 개정판을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럴 경우 일본해 단독 표기 전례가 4판에도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일간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동해병기 방안에 대해 무리하게 결론을 내리기보다 기존 일본해 단독표기를 따르자는 의견이 강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22일 “그동안 동해병기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며 “최소한 일본해 단독표기만큼은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최현수 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