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공무원 10% 매년 장애인 채용·장애인 콜택시 확충… 서울시, 장애인 지원대책

입력 2012-04-18 18:48

서울시가 매년 신규공무원 10%를 장애인으로 채용하고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료·법률 수화통역사를 양성하는 등 장애인지원대책을 마련했다.

시는 인권·예산·주거·안전·일자리·소통·문화 등 전 분야를 망라하는 5개 분야 65개 중점사업으로 구성된 ‘장애인 희망서울 종합계획’을 18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시는 올 하반기에 ‘장애인 인권센터’를 설치해 인권상담과 사례관리를 하면서 피해자 발견 즉시 신속하게 구제한다. 또 현재 1실에 18명씩 거주하는 장애인 거주시설을 2014년까지 5명 수준으로 개선하고, 활동보조인을 배치해 쇼핑 영화관람 등 나들이를 돕는다.

내년에는 전국 최초로 장애인지 예산제도를 시범 도입해 제도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권보장 기반을 구축한다. 지적 장애아와 자폐아동을 위해 안심전용 단말기를 시범 보급하고 장애인의 안전보장을 위한 위기관리 매뉴얼도 보급한다.

특히 신규 공무원 채용 시 그동안 우대시책에만 머물렀던 장애인 채용 비율을 신규채용 인원의 10%로 정하고 매년 85명 정도를 채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2014년까지 저상버스 3113대, 장애인 콜택시 600대로 늘려 교통수단 접근성을 강화하고,

중증장애인 1인 1취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로 등 4곳에 장애인 공연장을 확보한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장애인 1인당 100만원의 출산비용을 지원한다. 부부 중 1명이 1∼3급 장애인을 대상으로 올해 210명을 지원한다.

김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