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형태·문대성, 자진탈당 후 의혹 풀어라
입력 2012-04-17 18:06
새누리당 김형태(경북 포항 남·울릉) 문대성(부산 사하갑) 당선자를 둘러싼 파문이 심상치 않다. 김 당선자는 2002년 제수를 성추행했다는 의혹에 휩싸여 있고, 문 당선자는 석·박사 학위 논문을 표절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김 당선자는 제수인 최모씨가 돈을 노리고 거짓말 하는 것이라고 반박하고, 문 당선자는 일부 인용한 것은 맞지만 결론이 달라 표절이 아니라고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4·11 총선 이전에 터진 두 사건의 파장이 수그러들기는커녕 확대되는 추세다.
김 당선자의 제수는 언론과 잇따라 접촉해 ‘친정아버지가 성추행 사건 이후 자살했다’는 등 새 주장을 내놓고 있다. 10년 전의 일을 선거 기간에 폭로한 것은 국회의원이 돼선 안 될 사람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성추행과 관련된 1시간 분량의 녹취록을 갖고 있다고도 했다. 최씨의 언행에 고개가 갸우뚱거려지는 측면이 없지 않지만, 숨진 동생의 부인을 상대로 한 사건이라는 점에서 가볍게 넘길 사안이 아니다.
문 당선자와 관련해서는 석·박사 논문 뿐 아니라 교수 임용직전에 발표한 논문에 대해서도 표절 의혹이 제기됐다. 스포츠 선수 출신에게 전문학자와 똑같은 잣대를 들이대는 건 적절치 않다는 견해도 있는 듯하다. 그러나 그가 교수이고, 아시아 선수 최초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으로 활동 중이라는 점에서 이 역시 심각한 문제다.
김 당선자 건은 경찰이 조사 중이고, 문 당선자 건은 박사학위를 준 국민대가 심사 중이다.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사실을 확인한 뒤 조치하겠다고 밝혔지만 당내에서는 즉각 출당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두 당선자는 결자해지 차원에서 스스로 새누리당을 탈당한 뒤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 여당 당선자 신분에서 벗어나야 조사나 심사의 공정성을 그나마 담보할 수 있다. 그것이 자신들을 공천한 새누리당과 국회의원으로 뽑아준 유권자들에 대한 도리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