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대학 결정보고 조치… 새누리당, 김형태·문대성 출당논의 유보
입력 2012-04-16 21:55
새누리당이 제수(弟嫂) 성폭행 미수와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이 각각 불거진 김형태(경북 포항 남·울릉), 문대성(부산 사하갑) 당선자 처리 문제를 놓고 논란을 빚고 있다. 당 지도부는 사실 관계 확인 후 조치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당내에서 출당 등 ‘선제 대응론’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비상대책위원회는 16일 여의도 당사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일부 비대위원들이 상정한 두 당선자에 대한 출당조치 안건에 대해 “법적 절차를 거쳐 사실 확인 후 처리한다”고 결정했다.
회의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말 한마디로 출당 안건이 보류됐다. 박 위원장은 “대학에 맡기거나 법정으로 가면 결론이 날 것이고 그에 따라 당규에 따라 조치하면 되는 것”이라며 이상돈, 이준석 비대위원의 주장을 일축해 버린 것으로 알려졌다. 박 위원장은 회의 직후 두 당선자의 처리 문제를 묻는 기자들에게 “지난번에 제가 당의 입장을 발표했지 않습니까”라면서 “사실이 확인되면 거기에 따라 당이 (결정) 할 테니까 더 되풀이할 필요는 없는 얘기”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준석 비대위원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당선자는) 상식대로라면 사법 절차 없이도 본인이 당을 나가야 한다. 비선과 여러 통로를 통해 자진사퇴를 계속 권유하고 있다”며 자신이 가장 먼저 제기한 두 당선자 출당론을 고수했다.
황영철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중요한 것은 ‘팩트(사실)’라고 생각하고 문 당선자는 학교 측에서 결론 내리는 것으로 됐다. 김 당선자는 법정 공방으로 가고 있으니 이 부분은 우리가 간섭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양쪽에서 조속한 결론을 내주기를 희망한다는 데 (비대위원들이)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황 대변인은 미온적인 대처가 아니냐는 지적에 “(대학의 판단과 법적 공방이) 나오기 전에 여러 얘기하는 것보다 지켜보는 게 낫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대위의 결정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총선에서 과반 의석에 성공한 새누리당이 다시 거만해진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주통합당 박용진 대변인은 논평에서 “새누리당은 두 당선자에 대한 처리를 빨리 하라”면서 “과반 무너질까 걱정하다가 인륜이 무너질까 걱정된다. 또 과반이 붕괴되는 것을 걱정하다 국회 전체에 대한 신뢰가 붕괴될까 걱정된다”고 비꼬았다.
특히 인터넷을 비롯해 두 당선자에 대한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는 상황에서 새누리당이 너무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한편 새누리당은 회의에서 5월 중순 이전에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개최키로 했다. 권영세 사무총장이 전대 준비위원장을 맡고 준비위는 20인 이내로 구성키로 했다. 황 대변인은 현재 20만명의 선거인단 규모를 적절하게 축소하는 방안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비대위 회의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 규탄 결의안과 각종 민생 관련 법안 처리를 위해 오는 23∼25일 중 하루를 택해 ‘원 포인트’ 국회 본회의를 열자고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에게 제안했다고 밝혔다.
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