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서비스 시장을 잡아라”… 정부, 제조업 가공 생산기지 활용 전략에서 ‘타겟 이동’
입력 2012-04-16 18:53
우리나라 중국 진출 전략의 초점이 그간의 제조업을 통한 가공무역 위주에서 서비스 분야 등 내수시장을 겨냥하는 쪽으로 중심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6일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등이 참여한 제119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중국과의 서비스 분야 경협기반 확충방안’ 보고서를 내놓았다. 최근 중국정부가 대외의존형 경제성장의 한계극복을 위해 내수시장 확대를 천명하고 있음을 감안한 대응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한국의 중국 진출은 중국을 가공·생산기지로 활용해 교역기반을 확대해왔으나 내수시장 진출은 다소 미흡했다. 중국이 생산기지에서 소비시장으로 구조 전환하는 등 중국경제의 서비스화와 관련 대중국 투자 중 서비스업 투자 비중도 2003년 11.8%에서 2011년 20.7%로 점차 확대되고는 있다. 주 대상으로 도·소매업, 금융·보험업, 교육, 의료, 법률, 정보기술(IT) 등 다양한 분야가 거론된다.
정부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대중국 내수시장 진출의 획기적인 기회로 활용해 투자 보장,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 기술규제 완화 등 정부 간 협력을 통해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분야별 과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투자인프라 확충 차원에서 서비스업 진출 유망지역의 ‘한국해외무역관’을 통해 시장조사 및 마케팅·금융 등을 지원하고 ‘한국투자기업 지원센터’를 통해 법률·경영컨설팅을 제공한다. 중국 현지 서비스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원분야를 병원, IT, 공연사업 등으로 다변화하고 해당기업에 대한 수출금융 지원도 확대한다.
교육 교류 차원에서 ‘한·중·일 캠퍼스 아시아’ 사업을 통해 국내-중국대학 간 공동·복수학위 프로그램 운영기반도 조성한다. 이 사업은 3국의 학부·대학원생을 매년 100명씩 선발하여 공동 커리큘럼을 운영하되 소요비용은 각국이 분담하는 내용이다.
문화·관광산업 분야는 ‘영화공동제작협정’ 체결을 추진하고 현지 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필름비즈니스센터’를 운영하는 방안, 한·중 게임공동위원회 등을 통해 게임분야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고 공동사업을 발굴하는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2012년 한·중 수교 20주년을 계기로 중국관광객 유치활동도 추진할 계획이다.
조용래 기자 choy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