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비대위 새로 구성한다… 지도부 구성 격론 끝 접점 찾아
입력 2012-04-16 01:03
차기 지도부 구성을 싸고 진통을 거듭하던 민주당이 문성근 최고위원의 대표 직무대행 체제를 버리고 비상대책위원회를 새로 구성키로 했다. 12월 대통령 선거와 연계되는 당권을 놓고 친노무현 진영과 격돌했던 호남세력 중심의 구(舊) 민주계가 한시적이지만 사실상의 당 운영권을 쥐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문성근 대표 직무대행은 15일 오후 8시 당사에서 다시 최고위원 회의를 열고 후임 대표 선임과 당 수습 방안을 논의했다. 최고위원들은 대표 직무대행 체제를 계속 유지하는 안과, 비상대책위원회를 새로 구성하는 방안 등을 놓고 3시간 넘게 격론을 벌였다.
박지원 최고위원 등은 회의 내내 ‘최고위원 총사퇴와 비대위 구성’을 재차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최고위원은 앞서 언론과의 접촉에서 “4·11 총선 실패에 책임지고 반성해야할 사람들이 차기 지도부 선출 때까지 국민 앞에 나서 당을 이끌겠다고 하면 국민이 뭐라고 하겠느냐. 감동을 받겠느냐”고 말했다.
반면 친노 측은 문 대표 대행 체제를 밀어붙이면서 “당헌에 따라 대행 체제로 가는 게 당연한 수순”이라며 “이 체제로 임시 전당대회를 추진하고, 전당대회에서 차기 대표를 뽑아야 당이 안정될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워 맞섰다.
결국 최고위원들은 새 원내대표를 5월 4일 선출한 다음 비대위를 구성해 원내대표가 6월 전당대회까지 임시 대표직을 맡도록 하자는 안에 합의했다. 총선 패배 책임론을 제기하는 구 민주계에 친노 진영이 진 셈이다.
최고위원들은 회의에서 원내대표를 조기 선출과 6월9일이나 10일 하루를 잡아 전당대회를 열기로 합의했다. 또 이번 주 중 원대대표 경선관리위원회와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를 출범시키기로 했으며 당선자 간담회는 19일에 열기로 했다.
민주당은 당초 14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전날 사퇴한 한명숙 대표의 후임을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두 진영의 힘겨루기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최고위원들은 옥신각신하다 한 목소리를 찾지 못했다.
당 일각에서는 문성근 대표 직무대행 체제가 물 건너 가면서 친노 진영이 위축될 것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총선 전만해도 야권통합 대세를 주도하며 당내 지분 3분의 2를 장악했던 친노 진영이 총선패배에 따른 책임론으로 지분의 절반 이하로 약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일단 구 민주계 좌장인 박지원 최고위원에게는 상당한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새 원내대표 선출 과정에서도 박 최고위원의 영향력이 상당부분 작용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당 수습 방안이 확정됨에 따라 민주당은 전당대회를 향한 당내 세력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당대회에서 새로 뽑히는 지도부는 당내 대권주자들 간 경선 규칙과 유세 일정을 확정하는 중책을 맡게 된다. 12월 대선도 치러내야 한다.
결국 한 대표 사퇴 이후 임시 지도부 구성을 둘러싸고 벌어진 ‘친노-비노’ 진영 간 대립은 대선을 앞둔 기선잡기 포석인 셈이다.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