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로켓 발사 실패 이후] “北 3차 핵실험 막아라”… 美, 핵실험 감지 정찰기 오키나와 배치
입력 2012-04-15 18:53
북한의 광명성 3호 위성 발사 실패에도 불구하고 주변국들의 움직임은 더 빨라졌다. 김정은 체제가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3차 핵실험을 서두를 가능성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은 핵실험을 기정사실화하면서 이를 저지하기 위해 6자회담 참가국들과의 공조틀 다지기에 들어갔다.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15∼16일 일본을 방문,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무상과 면담한다. 이어 16일 서울에서 한국 고위 외교당국자들과 만난다. 캠벨 차관보의 한·일 방문 목적은 북한의 추가 도발 즉, 3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한 정보교환과 한·미·일 공조에 맞춰져 있다. 미국이 북한의 로켓 발사보다는 3차 핵실험을 더 우려하는 것은 플루토늄을 사용했던 1, 2차 핵실험 때와 달리 이번에는 핵 확산의 주범인 고농축우라늄(HEU)을 사용할 가능성 때문이다. 미군이 일본 오키나와 주일 미군 가데나(嘉手納) 기지에 14일 오후 핵실험 탐지능력을 갖춘 정찰기 WC135기를 서둘러 배치한 데서도 다급함을 엿볼 수 있다.
대북한 압박의 키를 쥔 중국을 상대로 치열한 외교전도 전개되고 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14일 오후 중국의 양제츠 외교부장과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에 대해서는 뭔가를 잘못했을 때는 대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면서 “중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중국이 리더십을 발휘해주면 좋겠다”며 중국의 적극적인 대북영향력 행사와 대북제재 동참을 요구했다.
양 부장은 “유엔 안보리에서 모종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대해 공감한다”고 말했다고 당국자는 전했다.
중국의 이런 태도로 볼 때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조치가 빨리 나올 것으로 보인다. 결의보다는 의장성명으로 점차 좁혀가고 있지만 이르면 이번 주 초중반 결과물이 나올 수도 있다.
중국이 지난 13일 “로켓 발사가 결의 위반이고 이를 ‘개탄(deplore)’하며 결과를 위해 계속 논의키로 했다”는 안보리 브리핑 문안에 반대하지 않은 점도 조기 의결을 예상케 하는 대목이다.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일본 외무상도 14일 밤 중국의 양 부장과 25분간 전화통화를 갖고 유엔안보리에서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를 채택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일본은 자체 대북 제재 강화도 검토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15일 구체적인 검토사항으로 대북 송금 상한액 인하와 북한 방문시 현금 소지에 대한 규제 강화 등을 들었다. 산케이신문은 14일 일본 정부가 조선총련 간부 가운데 재입국 금지 대상자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동훈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