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로켓 발사 실패] 金국방 “수년내 자체 미사일 요격시스템 개발”

입력 2012-04-13 21:55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후 우리 정부는 긴박하게 움직였다.

이명박 대통령은 13일 청와대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던 중 북한의 발사 사실을 보고받고 긴급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소집해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북한이 ‘광명성 3호’ 발사 실패에 따라 제3차 핵실험을 비롯한 추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문제는 북한이 제3차 핵실험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군사 도발을 할 가능성”이라며 “정부는 만반의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한미연합사령부는 이번 주초부터 대북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을 3단계에서 2단계로 한 단계 격상한 바 있다.

김관진 장관과 제임스 서먼 한미연합사령관, 성김 주한미대사, 정승조 합동참모본부 의장 등은 이날 오후 국방부에서 한·미공조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김 장관은 또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수년 내에 자체 미사일 요격시스템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는 16일에는 미 태평양사령관 사무엘 락리어 해군 대장이 김 장관과 정 의장과 만나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김성환 외교부 장관은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과 긴급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에 단호하게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정치권도 이날 모처럼 한목소리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비판했다. 국회 국방위원회와 외교통상통일위원회도 긴급 소집해 정부에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북한의 로켓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도발행위”라며 “정부는 이 문제를 유엔 안보리에서 다루면서 국제사회와 함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통합당 박용진 대변인은 “대단히 잘못된 선택으로 매우 유감스럽다”며 “한반도 평화를 흔들고 정치적, 군사적 긴장을 초래하는 모든 행동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국회 국방위와 외통위는 김 국방장관과 김성환 외교, 류우익 통일부 장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긴급 전체회의를 열었다. 국방위는 발사 규탄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