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석면과의 전쟁’… 서울시 등 슬레이트 지붕 교체 사업 본격 추진
입력 2012-04-12 19:10
전국 자치단체들이 지붕이나 천장 등 생활시설에 널리 사용된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을 제거하는 사업을 적극 펼치고 있다. 또 각급 학교의 교실과 공공시설 등에 사용된 석면자재를 점차 제거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서울시는 슬레이트 지붕과 천장 텍스 등 건축재로 사용돼온 석면을 제거하기 위해 올해 노후주택 200동의 지붕을 개량하는 것을 시작으로 2013년 1000채, 2014년 1200채 등 모두 2400채의 지붕 슬레이트를 전량 교체할 계획 등을 담은 ‘생활주변 석면관리 강화대책’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우선 슬레이트 지붕의 집 20여 채가 옹기종기 모여 있는 도심 속의 촌락인 서울 신림동 밤골마을과 성북동 217번지 일대 노후주택 10여 채의 지붕을 개량한다. 슬레이트 주택의 경우 거주자가 대부분 경제적 취약계층이어서 자발적인 교체가 어려운 점을 감안해 가구당 500만원씩 지원한다.
현재 서울에는 1만610동의 슬레이트 지붕 건물이 있으며 그 중 5780동이 주택이고, 3757동(65%)은 슬레이트 내구연한(30년)이 지난 상태다.
전남도는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주택 463채의 슬레이트 지붕을 개량한데 이어 올해 950채의 슬레이트 지붕을 추가로 철거한다. 대구시도 달성군 18채와 동구 4동 등 22동을 먼저 교체한다.
제주도는 이 사업이 도민 건강 보호와 건축물 소유자의 경제적 부담 해소, 폐 슬레이트 불법처리 예방에 긴요하다고 보고 2021년까지 계속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각 지자체들은 오는 29일 석면안전관리법 시행에 따라 공공건축물 및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석면조사를 실시하고 인터넷을 통해 관련 정보를 공개할 방침이다.
따라서 석면 사용이 많았던 학교들에 대한 석면 제거 사업과 공공건물 등에 대한 석면 관리도 적극 추진된다. 서울시는 1600개 초·중·고교뿐만 아니라 공공건물과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석면관리 컨설팅을 실시키로 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석면관리 고위험군에 속하는 1·2등급 건물 415곳에 대한 개선 작업을 최근 마무리했다.
김칠호 기자 seven5@kmib.co.kr